[아시아경제 권용민 기자] 앞으로 정부가 이동통신사업자들의 네트워크 보안 투자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소비자들의 일상과 밀접한 모든 기기(보일러ㆍ창문ㆍ도어락 등)가 인터넷과 연결되는, 소위 '초연결' 시대가 눈 앞에 다가오면서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커졌다는 판단에서다.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동통신3사에 매출 대비 보안 분야 투자 현황을 제출해 줄 것을 요청했다.
미래부 고위 관계자는 "사업자들로부터 자료를 제출 받아도 그대로 인용할 수는 없다"며 "보안이라는 것이 포괄적인 해석일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조율이나 평가 척도에 대해서 명확히 검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예컨대 네트워크 내 특정 장비에 대한 투자가 이뤄졌다면, 이 투자를 보안에 대한 투자인지 네트워크에 대한 투자인지를 검증해야한다는 것이다. 또 사업자들간 회계 기준 등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조율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또 다른 미래부 관계자는 "이통사들과 (보안) 범위에 대해 실무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마무리를 짓고, 올 하반기까지는 세부적인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부가 올해부터 보안 분야의 투자 현황을 직접 챙기려는 것은 최근 말로만 무성했던 스마트홈 제품들이 속속 상용화된 영향이 크다. 이통사들이 올 상반기 스마트홈 사업에 뛰어든 데 이어 하반기에는 수십종의 홈 사물인터넷(IOT) 제품이 추가로 출시될 전망인 만큼 보안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