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7년째 답보 상태인
한화오션한화오션042660|코스피증권정보현재가45,000전일대비250등락률+0.56%거래량4,430,941전일가44,7502025.01.10 15:30 기준관련기사한화 방산 3사, 새해 업무 첫날 '사업보국 초심' 되새겨[특징주]한화엔진, 선박용 엔진 공급계약 소식에 '강세'한화오션-에어로, 잠수함 연료전지체계 개발 과제 수주close
매각 작업이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마땅한 수요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서다. 조선업황 회복과 함께 방위산업의 특성을 해결하는게 핵심이지만 마땅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조기 취임한 정성립 신임 사장은 수주 실적 개선과 동시에 '임기 내 매각 완료'라는 무거운 짐을 짊어지게 됐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의 정부측 지분은 50%에 달한다.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이 31.5%를 보유하고 있고 금융위원회 12.2%, 국민연금공단 8.1%로 구성돼있다. 정부 지분은 대우조선해양의 전신인 대우중공업 워크아웃 과정에서 생겨났다.
정부는 2008년 초 본격적으로 대우조선해양 매각 절차를 시작했다. 산업은행은 그해 10월 우선협상대상자로 한화그룹을 선정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로 한화그룹이 인수를 포기하면서 매각이 중단됐다. 당시 한화가 제시한 인수가격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해 6조5000억원에 달했다.
산업은행과 대우조선해양 모두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매각이 마무리되길 원하고 있지만 인수희망자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된 조선업황이 과거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지난해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수주로 호황을 누렸지만 올해는 사장 선임 과정에서의 잡음 등으로 수주 실적이 많이 줄었다. 특히 수익성이 높은 해양플랜트 등의 시장 회복이 예상보다 더뎌 수익성 회복을 예단하기 쉽지 않다.
대우조선해양이 방위산업을 영위하고 있다는 점도 고민거리다. 대우조선해양은 해군 주력 전투함과 구축함, 잠수함 등을 생산하고 있어 국가 방위 산업체로 분류된다. 이 점 때문에 정부에서는 "방위산업 특성상 외국에 팔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국부 유출과 더불어 국가 안보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러시아 최대 국영석유회사인 로즈네프트사에서 컨소시엄을 구성해 대우조선해양 경영권 확보를 추진한다는 얘기가 나왔지만 정부는 방위사업을 포함한 대우조선해양을 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겠다고 단언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조선업황이 좋지 않은데다 대우조선해양은 규모도 커 마땅한 매수자를 찾기 쉽지 않다"며 "방위산업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외국 업체에 매각할 수도 없는데 국내에서 인수할 기업도 마땅치 않아 매각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