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어렵고 집 못 구해"…귀농·귀촌가구 2년째 증가

지역별 귀농귀촌가구 증감률(자료:농림축산식품부)

지역별 귀농귀촌가구 증감률(자료:농림축산식품부)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도시에서 농촌으로 돌아온 귀농·귀촌 가구가 2년 연속 증가했다. 취업난과 주택난, 베이비부머 은퇴가 겹치면서 귀농·귀촌 증가세는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19일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가구는 4만4586가구로 전년 3만2424가구 보다 37.5% 증가했다.특히 40대 이하 귀농·귀촌가구 증가율이 43.0%로 평균 증가율 37.5%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원 농식품부 차관보는 "청장년 고용여건이 불안정해지면서 농촌에서 사업 기회를 찾아 이주가 늘고 있다"며 "귀농·귀촌 가구가 베이비부머 세대 이후로 확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원생활을 목적으로 농촌으로 이주한 귀촌가구는 3만3442가구로 전년보다 1만1941가구 보다 55.5% 증가했다.연령별로는 50대가 9910가구로 가장 많았으며, 40대 7367가구 30대 이하 6546가구 60대 6378가구 70대 이상 3241가구 순이었다. 귀촌가구 증가율은 40대 이하가 62.6%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귀촌 지역별로는 경기가 1만149가구로 가장 많았으며, 제주(1649.0%)와 전남(267.0%), 경북(137.4%)은 높은 증가세를 달성했다.

농업인으로 신규 등록한 귀농 가구는 1만1144가구로 지난해 1만923가구 보다 2.0% 늘었다.

50대 가구가 4409로 가장 많고, 40대 2501가구, 60대 2383가구, 30대 이하 1197가구, 70대 이상 654가구를 기록했다.

특히 귀농가구주 평균 연령은 53.5세로 전년 53.1세 보다 0.4세 높아졌다.

귀농지역은 귀촌과 달리 영농여건이 양호하고 농지 등 초기투자비용이 적은 경북과 전남, 경남 3개 지역이 48.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경작면적은 0.45ha로 전년과 비슷하며 작물별로는 채소(43.5%), 과수(33.8%), 특용작물(28.5%), 논벼(22.6%) 순이다.

정부는 귀농·귀촌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정착단계별 지원정책을 확대할 계획이다. 귀농 귀촌 탐색기간 동안 거주할 수 있는 '귀농인의 집' 지원 대상을 지역내 취업하거나 봉사활동 하는 귀촌인까지 확대한다. 또 귀농 귀촌인이 조합을 설립하거나 신규 마을을 조성할 때 입지 규제와 조합설립 요건을 완화하기로 했다.

한편 귀농·귀촌 2~3년 경과 후 98%가 농촌생활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로 역귀농·귀촌은 1.9%를 차지하며, 이유로는 농업노동의 어려움이나 지역주민과 갈등, 외로움, 고립감, 자녀교육을 꼽았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