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안전지도, 뭣에 쓰는 물건인고?

정부 지난해 9월 첫 서비스 시작 불구 이용실적 저조...지난달 26일 시작한 2단계 서비스, 만회할까?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안전행정부 생활안전지도서비스(재난 분야) 예시.

안전행정부 생활안전지도서비스(재난 분야) 예시.

원본보기 아이콘
정부가 국민들에게 각종 안전 정보를 제공하겠다며 수백억원의 예산을 들여 만든 생활안전지도 서비스의 사용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9월30일 생활안전지도 1단계 서비스를 시작한 후 4개월 가량 지난 지난달 19일까지 사용 실적은 PC웹사이트 방문자 3만7762명, 모바일 앱 다운로드 7828건에 그쳤다. 1단계 서비스가 서울 송파구ㆍ성북구 등 전국 15개 지자체만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실시됐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매우 저조한 실적이다. 모바일 앱의 경우 지난 4개월간 1개 지자체당 평균 521건밖에 다운로드됐고, 웹사이트 방문자 숫자도 같은 기간 평균 2517명밖에 되지 않았다. 이같은 이용 실적은 시범실시 지자체의 공무원들만 한 번씩 웹사이트에 들어와 보거나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해본 정도에 불과하다.

국민안전처는 이같은 저조한 사용 실적에 대해 소수 지자체를 상대로 한 시범 실시 기간이라는 한계때문이라는 해명이다. 한 관계자는 "이같은 접속자 현황은 1단계 서비스 공개가 15개 시범지자체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점을 감안하시면 될 것"이라며 "지난달 26일 이후 서비스 대상 지자체가 기존 4개분야에 대해서는 115개로 확대되기 때문에 접속자 수가 더 올라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서비스 미비ㆍ홍보 부족ㆍ졸속적 시행 등을 원인으로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해 9월 1차 서비스 개시 당시 모바일로 생활안전지도 웹을 접속하면 전체 화면의 일부가 잘려 있고 손가락으로 화면을 터치해도 잘려진 쪽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는 등 불편 사항이 많았다. 인터넷 웹사이트도 사이트의 메뉴 등이 조잡해 사용이 어렵지만 도움말도 찾기 힘들었고, 웹 페이지 전환 시간이 매우 느린데다 툭하면 홈페이지가 멈추는 등 사용자들의 불만이 많았다. 또 당초 낙인 효과 방지 차원에서 비주거지역에만 범죄 정보를 표시하겠다는 방침도 특정 범죄를 검색할 경우 아파트 담장과 주거지 인근 골목 등에 범죄 정보가 표시돼 있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등 지켜지지 않았다는 비판도 나왔었다.

한편 국민안전처는 지난달 26일부터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지역을 100개 늘려 전국 115개 지자체에서 확대 실시 중이다. 정보 제공 분야도 기존 교통, 재난, 치안, 맞춤안전 등에서 시범서비스 지역 15개에 한해 시설, 산업, 보건식품, 사고안전 등으로 확대했다. 1차 서비스때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안전정보 읽기 도움말' 서비스기능을 추가하는 등의 조치도 취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