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지구온난화 예방, 생활속 실천 병행돼야

김승도 한림대 환경생명공학과 교수

김승도 한림대 환경생명공학과 교수

원본보기 아이콘
우리나라 연안에서 한류성 어류인 명태가 안 잡히기 시작하고 난류성 어종인 오징어, 해파리 등이 포획되고 있다. 사과 재배지도 계속 북상해 강원도에서도 사과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은 석유, 석탄 등 소위 화석연료의 방만한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의 과다 배출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2년 기준 이산화탄소 연간 배출량이 6억3500만t으로 세계 7위다. 국민 1인당 배출량도 연간 11t이 넘는 심각한 수준이다. 기후변화 대응 초기에는 정부 주도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여러 정책과 방안이 산업부문을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 시작했다.하지만 생활분야에서 온실가스 감축은 용이하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대부분 선진국에서도 생활분야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이 그다지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생활분야는 산업부문과 달리 규제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은 어렵고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서만 비로소 가능하기 때문이다.

저탄소생활 실천의 중요성이 커지는 이유다. 바람직한 형태의 온실가스 감축은 가정부터 시작되어 전 사회로 확산되는 상향식이어야 한다. 어떤 노력을 통해 저탄소생활이 정착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할 때가 찾아왔다고 생각한다.

저탄소생활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사안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비록 이러한 노력들이 가시적 효과로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나 저탄소생활이 지속가능한 발전과 저탄소사회 건설에 근간이 될 것이다. 저탄소생활은 그동안의 생활방식을 바꾸어야 하는 어려움과 고통을 수반한다. 그러므로 정부는 저탄소생활로 인한 사회ㆍ경제적 효과를 계량화하고 이를 실천한 개인에게 환원해주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지난해부터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에서는 '온실가스 1인 1t 줄이기 국민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국민운동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실천수칙과 행동요령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 이런 행동요령에 공감대를 형성해 국민운동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1997년 프랑스 항구도시 라로쉐에서 시민운동으로 시작된 '차 없는 날(Car Free Day)' 캠페인으로, 세계 40여개국 2000여개 도시가 참여하는 범지구적 행사로 발전했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걷기, 자전거 타기 등이 점차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레저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출퇴근 등의 실생활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온실가스 감축 측면에서는 별 효과가 나타나질 않는다. 출퇴근을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이나 자전거를 이용하고 가급적 많이 걸어 다닌다면 건강에도 좋을 뿐 아니라 경제도 절약하고 온실가스도 줄이는 그야말로 일석삼조의 저탄소생활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앞선 사례 외에도 생활 속에서 저탄소생활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수없이 많이 있다. 정부와 시민단체는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저탄소생활 실천운동을 널리 확산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고, 저탄소생활이 생활 속에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해주길 당부한다.



김승도 한림대 환경생명공학과 교수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