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대표팀을 응원하는 관중[사진=대한축구협회]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 대륙 나라가 아닌 곳에서 열리고 있는 2015년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8일째 경기에서 대회 개막 뒤 가장 치열한 경기가 펼쳐졌다. 지난 17일 오후 5만 여명의 관중이 들어찬 브리즈번 스타디움에서 열린 조별 리그 A조 마지막 날 경기에서 한국은 국가 대표 신예 이정협의 절묘한 결승 골에 힘입어 개최국 호주를 1-0으로 누르고 조 1위로 8강에 올랐다. 미리 보는 결승전 같은 경기였다.
8강전 이후 진행 상황에 따라 두 나라는 결승에서 다시 만날 수 있다. 8강전 이후를 의식한 호주는 베테랑 주전 공격수 팀 케이힐과 좌우 날개인 로비 크루스와 매튜 레키를 선발 명단에서 뺐다. 그러나 호주는 후반 들어 팀 케이힐과 로비 크루스 등 공격수를 투입하며 무승부 또는 역전을 노렸다. 그러나 호주의 의도는 한국 문지기 김현진의 신들린 듯한 방어로 물거품이 됐다. 조 1위 싸움이라기보다는 서로 상대의 기를 꺾겠다는 의도가 그대로 드러난 경기에서 한국은 값진 승리를 거뒀다. 사커(Soccer)와 캥거루(Kangaroo)의 합성어인 ‘사커루’로 불리는 호주와 한국 축구는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대륙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1960년대부터 상당한 수준의 교류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까지는 한국이 일방적으로 당하는 악연이었다.
사커루가 한국 축구 팬들에게 존재감을 알린 건 1960년대 중반 북한에 의해서다. 북한이 첫 A매치를 가진 건 1959년 10월의 일이다. 상대는 중국이었고 1-0으로 이겼다. 그러나 이 무렵 북한 축구는 국제무대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런 북한이 1965년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벌어진 1966년 제8회 잉글랜드 월드컵 아시아?아프리카·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에서 호주를 6-1, 3-1로 연파하고 본선 티켓을 거머쥐었다.
국내 축구 관계자들이 깜짝 놀랄 소식이었다. 본선에서 이탈리아를 1-0으로 꺾고 8강에 진출하는 파란을 일으키는 북한은 호주와 2연전에서 이탈리아전 결승골의 주인공 박두익과 조별 리그 칠레전 동점골과 포르투갈과 8강전에서 선제골을 넣은 박성진 등이 맹활약했다.
호주의 A 매치 1-6 패배는 1955년 9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홈경기에서 0-8로 진 것을 비롯해 몇 손가락에 안에 드는 대패 기록이다. 한국을 따돌리고 처음으로 본선에 나선 1974년 서독 월드컵 조별 리그 A조에서 호주는 동독에 0-2, 서독에 0-3으로 졌지만 칠레와 0-0으로 비기는 등 세계적인 수준의 나라들에 크게 뒤지지 않는 경기 내용을 보였다. 그런 호주를 북한이 어린아이 손목 비틀 듯이 이긴 것이다.
김창수(오른쪽)와 아지즈 베히치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사진=대한축구협회]
원본보기 아이콘
그 무렵 한국은 호주에 일방적으로 밀리고 있었다. 1967년 11월 사이공(오늘날의 호치민)에서 열린 베트남독립기념배대회 결승에서 2-3으로 진데 이어 1968년 8월에는 1960년대 동남아시아 지역 최고의 국제 축구 대회였던 메르데카배대회(말레이시아)에서 0-3으로 완패했다. 이어 장년층 축구 팬들의 기억에 생생한 1970년 제 9회 멕시코 월드컵 예선에서 호주는 한국에 쓴잔을 안겼다. 1970년 멕시코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1차 예선은 1969년 10월, 이제는 흔적도 없이 사라진 서울운동장에서 한국과 일본, 호주가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아시아·오세아니아 예선에는 이스라엘과 로디지아(오늘날의 짐바브웨), 북한, 뉴질랜드 등이 들어 있었는데 북한은 이스라엘과 경기를 거부하면서 출전을 포기했다. 로디지아는 인종차별 정책 때문에 아프리카에서 밀려나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으로 배정됐지만 한국 역시 아프리카 나라들과 외교 관계를 의식해 로디지아의 입국을 허용하지 않았다. 결국 이스라엘과 뉴질랜드, 로디지아는 2차 예선으로 바로 올라갔다.
더블리그로 진행된 1차 예선에서 한국은 일본에는 2-0, 2-2로 앞섰으나 호주와 1차전에서 1-2로 진 데 이어 2차전에서 1-1로 비겨 2차 예선 출전권을 얻지 못했다. 호주는 2차 예선에서 로디지아를 1-1, 0-0, 3-1로 따돌렸으나 최종 예선에서 이스라엘에 1-1, 0-1로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한마디로 1960년대 호주는 큰 체격과 강한 체력을 바탕으로 하는 유럽식 축구로 한국으로서는 넘기 어려운 벽이었다. 그 무렵 호주와 경기를 앞두고 나오는 예상 기사에는 예외 없이 두 나라 선수들의 평균 키와 몸무게가 실렸다. 제공권에서 밀릴 수 있다는 전망이 꽤 큰 비중을 차지하기도 했다.
호주는 1970년대에도 한국을 여러 차례 좌절하게 만들었다. 1974년 제 10회 서독 월드컵을 앞두고 한국은 1970년에 제 7회 아시아경기대회(방콕)와 메르데카배, 킹스컵(태국) 우승을 휩쓸며 기세를 올렸고 그해 에우제비오와 뒷날 한국 대표팀 감독이 되는 움베르투 쿠엘류가 이끄는 포르투갈의 명문 클럽 벤피카, 1972년에는 펠레의 산토스 클럽과 친선경기를 갖는 등 실력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호주의 공격을 막아낸 한국축구대표팀[사진=대한축구협회]
원본보기 아이콘
그러나 1973년 10월과 11월 시드니와 서울을 오가며 벌어진 서독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 0-0, 2-2로 비긴 뒤 11월 13일 홍콩에서 벌어진 3차전에서 0-1로 져 본선 문턱에서 주저앉았다. 서울운동장에서 벌어진 홈 경기에서는 전반 15분 김재한, 27분 고재욱의 연속 골로 2-0으로 앞서며 월드컵 본선에 바짝 다가서는 듯했지만 전반 29분 불제비치에게 추격 골, 후반 3분 라르츠에게 동점 골을 내줬으니 땅을 칠 노릇이었다.
한국은 이후 1978년 제 11회 아르헨티나 월드컵 예선에서도 호주와 만나 1무 1패(0-0 1-2)를 기록하는 등 1970년대에 7차례 만나 4무 3패로 일방적으로 뒤졌다. 이후 1987년 6월 대통령배국제대회 결승에서 1-1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5-4로 이겨 우승하기까지 열 차례 A매치에서 한 차례도 이기지 못했다. 그리고 이 경기도 기록으로는 무승부로 처리됐고 한국이 A매치에서 호주를 처음으로 이긴 건 1990년대에 들어서서다.
1990년 9월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린 친선 A매치에서 변병주의 결승골에 힘입어 실질적으로 첫 승을 거둔 이후 지난 17일 경기까지 한국은 1990년대 이후 호주와 7승4무3패의 상대 전적을 이어 가고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4승2무1패다.
17일 경기는 참으로 기분 좋은 승리였다.
신명철 스포츠 칼럼니스트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