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우리나라 선사는 유동성 부족에 침몰 직전이다. 하지만 국책은행은 외국계 선사 자금지원에 나서고 있다. 역차별 아닌가?"
10만 선원들의 대표(전국해상산업노동조합연맹)들이 지난달 28일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을 만나 이같이 호소했다. 한국수출입은행이 세계 1위 컨테이너선사인 머스크라인(MAERSK LINE)에 12억달러(1조3000억원)의 선박금융자금을, 미국 선사인 스콜피오탱커스에 1억2000만달러(1300억원)의 선박채권보증을 지원한 것과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칠레 컨테이너선사인 CSAV에 1억7000만달러(1800억원)의 무역보험을 제공하자 터진 불만이다.
우리나라 조선업을 살리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배려다. 하지만 지난 5년간 우리나라 정부가 외국계 정부처럼 자국 선사 살리기에 나섰다면 이처럼 외국계 선사에 돈 퍼주면서 선박을 건조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라는 게 해운업계 측 불만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해운 불황이 가시화되면서 우리나라 정부를 제외한 각국 정부는 자국 선사 살리기에 나섰다. 지난해 일본 정부는 영구채를 자본으로 인정하고 정책금융기관인 일본산업은행이 영구채 인수에 일부 참여토록 했다. 지난해 1조4000억원대 규모의 장기 저리 선박금융도 제공했다. 중국도 2011년 중국은행과 교통은행 등을 통해 46조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했다.
해운업의 본고장인 유럽에서는 금융위기 후 정부가 바로 지원에 나섰다. 세계 1위 선사 머스크는 2009년 12월 자국 수출은행을 통해 5800억원의 금융지원을 받았다. 같은 달 프랑스도 국부펀드인 FSI를 통해 3400억원의 유동성을 긴급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