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 암 진단 이후 뇌졸중 발병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은 서우근 신경과 교수와 이준영 고려대 의학통계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암과 뇌졸중 사이의 인과관계를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2002~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코호트를 토대로 암 환자 2만707명과 일반인 67만5594명의 뇌졸중 발병 위험을 비교했다.
그 결과 암 환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모든 뇌졸중 발병 위험이 13% 증가했다. 특히 허혈성 뇌졸중 발병 위험은 17%로 위험도가 더욱 컸다. 다만 출혈성 뇌졸중의 경우 관련성이 분명하지 않았다.
이 같은 발병 위험도 차이는 암 진단 3년차까지 커진 뒤 7년차까지 유지됐다. 때문에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위험도 차이가 컸다. 암 진단 7년차 때 뇌졸중 사망위험은 암환자가 일반인에 비해 21%나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암 치료에 쓰이는 항암화학요법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로 같은 암 환자라도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의 뇌졸중 발병 위험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21% 더 높았다.
아울러 뇌졸중 발병 위험은 위, 대장과 같은 소화기암이나 폐암 등 흉곽 내 장기에서 발생한 암과 뚜렷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에 반해 인두암, 갑상선암, 유방암 등 일부 암종과는 관련이 없었다.
서우근 교수는 "암으로 인한 고통도 큰 데 뇌졸중 위험까지 겹치면 환자나 가족들이 그 부담을 견디기 매우 어렵다"면서 "암 진단과 동시에 뇌졸중 위험을 관리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인뉴롤로지' 최근호에 실렸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