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정부수립 100주년, 역사의 현장 서울 경교장을 찾다

경교장의 김구 집무실 유리창 총탄 자국. 1949년 암살직후 찍은 사진(왼쪽)과 현재 재현해놓은 모습. 백범 김구의 죽음 하면 떠오르는 사진이다. 경교장 2층 김구의 집무실 유리창 너머, 고개를 떨군 채 통곡하는 군중의 모습. 사진 속 유리창에는 총탄 구멍 두 개가 선명하다. 안두희가 쏜 총탄이 유리창을 관통한 흔적이다. 1949년 6월 26일 김구 암살 직후 미국의 사진기자 칼 마이댄스가 찍어 ‘라이프’에 게재했던 것이다. 당시 사진 제목은 ‘혼란 속의 한국, 호랑이를 잃다’였다.

사적 제 465호 '경교장(京橋莊)'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공간이자 백범 김구(1876~1949) 선생이 서거한 역사의 현장이다. 서울시는 우리 근현대사의 역사적 현장을 되살려 시민교육공간으로 활용하고자 경교장을 원형 복원하고 내부를 전시공간으로 꾸몄다. 복원된 경교장에서는 대한만국 임시정부의 지나온 역사를 유물과 영상, 정보검색 코너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원본보기 아이콘
2층 거실 겸 집무실. 김구 주석이 평상시 공무를 보거나 접견 장소로 사용하던 곳. 1946년6월26일 김구는 이곳 집무실에서 대한민국 육군소위이자, 주한미군 방첩대요원인 안두희의 총탄에 맞아 서거했다.
원본보기 아이콘
2층 거실 겸 집무실. 김구 주석이 평상시 공무를 보거나 접견 장소로 사용하던 곳. 1946년6월26일 김구는 이곳 집무실에서 대한민국 육군소위이자, 주한미군 방첩대요원인 안두희의 총탄에 맞아 서거했다.
원본보기 아이콘
경교장을 찾는 탐방객들 2층 김구의 집무실에서 백범이 흉탄에 쓰러진 최후의 현장을 바라보며 해설을 듣고 있다. 누가 안두희를 사주했을까? 왜 백범을 죽여야 했을까? 백범의 일생을 회고하며 그 의문을 풀어본다.
원본보기 아이콘
서울 종로구 평동 강북삼성병원 내 경교장. 이 건물은 1938년 지어졌다. 김구 서거 뒤엔 주한 대만대사관저 등으로 사용되다가 1967년 고려병원(현 강북삼성병원)이 매입해 병원 건물로 사용했다. 그러다 보니 내부 구조가 많이 바뀌었고 1990년대 들어 복원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복원은 쉽지 않았다. 그러던 중 2005년 2층의 옛 김구 집무실을 먼저 복원했다. 그 무렵 이곳은 의사들의 휴게실이었다. 이후 경교장 전체를 복원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고, 2010년 강북삼성병원은 복원을 위해 건물을 서울시에 기증했다. 전면 복원은 2013년 마무리되었다.
원본보기 아이콘김현민 기자 kimhyun8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르포]“인성이 중요” “무조건 국민의힘”…차가운 경주 민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50913283150801_174676491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