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일본 수입차 국내서 4만대 팔리는데…국산차 日수출은 '5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올해 11월 기준 일본 수입차 점유율 16.9%
일본 수입차 올해 판매 대수도 역대 최대 전망
현대기아차, 2009년 일본시장서 승용차 부문 철수

일본 수입차 국내서 4만대 팔리는데…국산차 日수출은 '5대'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우수연 기자] '4만663대 vs 5대'
올해 토요타와 렉서스, 혼다, 닛산, 인피니티 등 일본 5개 완성차 업체들이 한국에 판매한 자동차는 모두 4만663대(11월말 기준)에 달한다. 반면 현대자동차 등 한국 완성차 업체들이 일본에 판매한 승용차는 고작 5대다. 시장 왜곡현상이 지나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19일 한국수입차협회에 따르면 올들어 11월까지 토요타 등 일본 자동차의 국내 수입차 시장 점유율은 16.9%로 집계됐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연말 역대 최고 실적 달성이 확실시 된다.

일본 완성차 브랜드는 2000년대 '강남 소나타'로 불리던 렉서스 ES시리즈와 혼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CR-V의 폭발적인 인기로 독일 브랜드 BMW, 메르세데스 벤츠와 점유율 상위권을 다투었다. 그러다 2010년대 들어 디젤 세단에 대한 규제 완화로 독일차가 급부상하면서 일본차 인기가 식었다. 이후 폭스바겐ㆍ아우디의 '디젤 게이트'로 배기가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미세먼지 문제가 부각되면서 일본 완성차 브랜드가 다시 날개돋친듯 팔리고 있다.
한국 완성차 브랜드의 일본 판매실적은 민망한 수준이다. 일본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올해 현대차 승용차 일본 판매 실적은 5대에 불과하다. 현대차 의 공식 판매 채널이 없는 점을 감안하면 5대 모두 비공식형태로 판매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차 는 지난 2000년 일본에 승용차 판매법인을 설립하고 2001년부터 일본 현지 판매에 나섰으나 2009년 철수했다. 현재는 상용차 부문만 남아 버스를 판매하고 있지만 이 역시 개점휴업상태(올해 판매 12대)다.

일본인들의 자국차 사랑이 남다르다고 하지만 통상 측면에서 보면 기울어진 운동장이나 다름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본 인기 모델인 렉서스 ES 300h(5700만원)를 단순 환산(4만663대)할 경우 국내 일본차 판매액은 2조3178억원에 달한다. 승용차 부문 대(對) 일본 무역 적자만 2조3000억원이 넘는 셈이다.

국내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일본에 파견된 한국 공공기관조차도 한국 승용차를 사지 않는다"며 "일본의 자동차 브랜드와 모델이 한국 보다 다양해 한국 자동차가 일본 시장에 들어갈 틈이 없다"고 말했다.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최근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독일 브랜드들의 잇따른 게이트로 일본차 선호도가 높아가고 있다"며 "일본차 하면 친환경 이미지가 있는 데다 미국이나 유럽 브랜드와 달리 친숙한 이미지를 주는 것도 인기의 한 비결"이라고 전했다.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