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국제유가, 최악의 달…트럼프·사우디가 변수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10년래 '최악의 한달'을 보낸 원유시장에 '정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졌다. 한때 배럴당 100달러선을 기대했던 국제유가는 11월 한 달 동안 무려 20%이상 급락하며 심리적 지지선인 50달러선마저 위태로운 상태다. 이번 주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논의를 앞두고 그간 '저유가'를 지지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사우디아라비아의 행보가 향후 유가 움직임의 주요 변수로 꼽힌다.

2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향후 국제유가 행보를 가늠할 수 있는 OPEC과 비(非)OPEC 회동은 오는 6~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최된다. 이 자리에서 사우디·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산유국들은 최근 국제유가 급락세에 대응한 원유시장 안정 조치를 검토하게 된다. CNBC는 "유가가 지난 달 원유공급, 세계 정치에 타격을 받으며 최악의 한 달을 기록했다"며 "이들이 생산량 감축에 합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미 유가 벤치마크인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지난달 30일 배럴당 50.93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11월 한 달 동안 무려 21.2%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는 2008년 10월 이후 월간기준 최대 하락폭이다. 10월 초 연고점(76.41달러)을 갈아치운 이후 두달도 채 안돼 3분의 2 수준으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브렌트유 또한 4년래 고점인 배럴당 86달러에서 58달러선으로 급락했다.

이에 따라 OPEC 자문역인 OPEC 경제위원회는 이번 회의에서 산유국들이 원유 생산량을 10월 대비 일 평균 130만배럴 줄여야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RBC 캐피탈 마켓의 글로벌상품전략책임자인 헬리마 크로프트는 "배럴당 60달러대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OPEC에서 대폭적인 감산이 필요하다"며 "최소 (일평균) 100만배럴 이상 줄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일일 150만배럴 이상으로 감산폭이 결정될 경우 국제유가 상승세의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크로프트는 덧붙였다.

유가 행방은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와 트럼프 대통령 간 관계에 달렸다는 분석이 잇따른다. 그간 유가 상승을 노골적으로 비판해 온 트럼프 대통령이 산유국의 감산행보에 특히 날을 세우고 있어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사우디 출신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사건의 배후로 지목된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를 옹호하는 이른바 '면죄부 성명'을 낸 직후, 유가가 하락세를 나타낸 것도 동일한 맥락으로 읽힌다. 국제사회에서 고립 위기에 몰린 사우디로서는 미국의 정치·경제적 지지를 얻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는 셈이다.
CNBC는 "이번에는 사우디가 아마도 '경제적 이기심'에 따라 OPEC의 생산량 감축에 동의하겠지만, 트럼프 대통령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기 위해 줄타기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일부 산유국들은 사우디가 지난 여름부터 증산을 통해 유가 하락세를 원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뜻을 따랐다고 보고 있다. 사우디의 제안에 시큰둥해할 수 있다"며 "OPEC이 생산량을 감산하지 않는다면 내년 초 국제유가는 더 떨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이번 주 산유국 회동은 국제유가뿐 아니라, 글로벌 증시와 경제 전반에 있어 주요 분기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도 평가된다. WSJ는 "4년래 가장 중요한 자리가 될 수 있다"며 투자자들이 2014년 산유국 회동 이후 2015년을 휩쓴 경기침체를 다시 떠올리고 있다고 전했다. 미 원유재고 증가세 등과 맞물려 산유국들이 감산에 나선다해도 공급과잉이 지속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유가가 하락할 경우 휘발유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에겐 이익이다. 하지만 배럴당 50달러선마저 붕괴될 경우 고금리 채권시장부터 휘청일 전망이다. 딜로직에 따르면 올해 고금리 채권발행의 22%가 석유 및 가스회사로 추산된다. 이는 전년 대비 13% 늘어난 규모다. 에너지부문을 중심으로 한 투자 역시 더욱 압박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헤지펀드인 브렌햄 캐피털은 최근 국제유가 하락세로 인한 어려움을 견디다못해 결국 문을 닫기로 했다. 10월 이후 뉴욕 증시에서 마라톤 오일, 데본에너지, 발레로 에너지 등의 주가는 각각 30%이상 급락한 것으로 파악된다. 존 라바노우스키 브렌햄캐피털 창립자는 "석유 카르텔의 정책이 새로운 위험을 창출해냈다"며 일관성없는 OPEC의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포토] 외국인환대행사, 행운을 잡아라 영풍 장녀, 13억에 영풍문고 개인 최대주주 됐다 "1500명? 2000명?"…의대 증원 수험생 유불리에도 영향

    #국내이슈

  • "화웨이, 하버드 등 美대학 연구자금 비밀리 지원" 이재용, 바티칸서 교황 만났다…'삼성 전광판' 답례 차원인 듯 피벗 지연예고에도 "금리 인상 없을 것"…예상보다 '비둘기' 파월(종합)

    #해외이슈

  • [포토] '공중 곡예' [포토] 우아한 '날갯짓' [포토] 연휴 앞두고 '해외로!'

    #포토PICK

  • 현대차 수소전기트럭, 美 달린다…5대 추가 수주 현대차, 美 하이브리드 月 판매 1만대 돌파 고유가시대엔 하이브리드…르노 '아르카나' 인기

    #CAR라이프

  • 국내 첫 임신 동성부부, 딸 출산 "사랑하면 가족…혈연은 중요치 않아" [뉴스속 용어]'네오탐'이 장 건강 해친다? [뉴스속 인물]하이브에 반기 든 '뉴진스의 엄마' 민희진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