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소자 차세대 핵심물질로 활용 기대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두 가지 원소로 구성된 2차원 물질을 합성하는 과정의 난제를 해결했다. 차세대 투명 유연 전자 소자 등의 개발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차원 물질들은 전기적인 특성, 유연성, 투명성이 우수해 차세대 전자 소자의 핵심 소재로 꼽힌다. 기체를 투과시키지 않아 소자의 보호 장벽으로 활용 가능성도 높다. 그 중 질화붕소는 2차원 물질 중에서 유일하게 절연 특성이 있어 투명한 유연 전자소자의 절연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질화붕소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결정’ 형태로 합성해야 하는 난제가 남아 있었다. 기존 합성법으로 개발된 대면적 질화붕소는 다결정 형태로 합성돼 질소와 붕소의 원자결합이 불완전하고 절연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연구팀은 액상 금 표면 위에서 질화붕소의 결정립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가 줄맞춤’ 현상을 이용해 단결정 질화붕소 박막을 합성했다. 이 방법은 박막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크기의 단결정 형태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제작된 단결정 질화붕소 박막을 기판으로 활용해 반금속성 소재인 그래핀, 반도체성 소재인 이황화몰리브덴, 이황화텅스텐 등 다른 2차원 소재들도 단결정으로 합성했다. 그래핀과 질화붕소가 층을 이루는 이종 적층구조를 직접 합성하는 데도 성공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우리도 그랬더라면 시장 폭삭 안 망했다"…한국 부러워한 세계인들[윤석열 파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0412114297826_1743736301.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