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점 애로사항·고용 현황 등 파악
시도별 프랜차이즈 분포 지도도 마련
14일 국회와 기획재정부, 통계청에 따르면 여야는 내년도 예산안을 심사하면서 프랜차이즈 전수조사 예산 36억원을 원안대로 확보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미래신성장 산업 6개에 대한 실태조사 예산안을 제출했는데 프랜차이즈만 살아남게 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프랜차이즈가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만 본부회사를 통해 알아볼 수 있는 자료로는 가맹점 주소조차 부정확해 업데이트에 한계가 있다"면서 "여야가 정확한 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통계청이 내년에 실시하는 프랜차이즈 전수조사는 관련된 모든 업종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이뤄질 전망이다. 2017년 발표한 '2015년 경제총조사 보고서'에서 정의된 프랜차이즈 사업은 '본부회사와 계약을 체결(가맹)하고 일정한 로열티(특약료)를 본부회사에 지불하는 대가로 상표와 고유마크의 사용권, 교육, 경영관리 노하우ㆍ동일 상품 등을 제공받아 판매활동을 하는 사업체'를 말한다. 여기에는 편의점, 치킨ㆍ햄버거ㆍ피자ㆍ커피 전문점 등이 해당된다. 2015년말 기준 가맹점수(교육서비스업 제외)는 18만1000개, 가맹점 종사자수는 66만명이다. 도ㆍ소매업과 숙박ㆍ음식점업이 전체 가맹점의 90.0%, 종사자의 90.2%를 차지할 정도로 서민 생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통계청은 다만 매년 전수조사를 진행할지 여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내년 전수조사 결과를 토대로 행정조사로 대체 가능할지 여부를 파악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한국에 도와달라 하자"…맥주 만들다 원전기술 '번뜩' 덴마크 박사들의 SOS [기업연구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1710380123572_1744853881.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