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대전지역 일선학교 교사 10명 중 8명이 타 시·도에 비해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다는 응답을 내놨다. 반대로 타 시·도보다 업무가 적고 가볍다고 응답한 교사는 응답비율 0%를 기록했다.
설문조사에서 교사들은 ‘타 시·도에 비해 업무가 적고 가볍다’는 항목에 6명(0%), ‘평균에 가깝다’ 108명(6%), ‘타 시·도에 비해 업무가 많고 무겁다’ 1285명(82%), ‘잘 모르겠다’ 141명(9%), ‘無 응답’ 11명(0%) 등으로 응답했다.
또 교원업무의 정상화를 위해 폐지하거나 지방자치단체 및 행정실 등으로 이관해야 할 업무를 묻는 항목에선 ‘학교 CCTV 설치 및 관리(931명·59%). ‘방과 후 자유수강권 및 수강료 지급(846명·54%)’, ‘돌봄 교실 간식비 및 강사비 지급품의(764명·49%)’ 등을 꼽았다.
지역 교사들은 ‘사이버 가정학습’, ‘찾아가는 컨설팅 장학’, ‘각종 강제성 직무연수’ 등을 폐지 또는 개선이 필요한 정책으로 보기도 했다. 교사 본연의 업무연장선에서 놓고 볼 때 이들 업무의 실효성이 적거나 단순히 관행적 보여주기 식으로 이뤄진다는 판단에서다.
이밖에 교사들은 연구학교가 대폭 축소되는 대신 ‘선도학교’가 그 자리를 대체, 교사들의 불필요한 역량 낭비와 교육과정 왜곡을 초래한다는 점도 꼬집었다. 이와 관련해 교사들은 대전시교육청이 운영하는 각종 선도학교의 교육적 효과가 미미해 전면 폐지하거나 개선해야 한다는 데 95%의 응답률을 보였다.
현재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선도학교는 ▲효실천 선도학교 ▲인성교육 중점학교 ▲인성교육 교사동아리 ▲바탕교육 선도학교 ▲소프트웨어 선도학교 ▲메이커교육 선도학교 ▲맞춤형 교육 선도학교 ▲과학수업 선도학교 ▲소비자교육 선도학교 등 24개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교육청에 바라는 것을 묻는 항목(서술형)에서 교사들은 ‘주5일 수업제 안착과 아이들의 휴식권 보장을 위한 토요 방과후 수업 폐지’오 ‘방과 후 자유수강권 및 수강료 지급’, ‘각종 연수 참여 횟수의 축소 및 자율성 보장’을 우선 제안했다.
한편 전교조는 설문조사 결과를 지난달 26일 대전시의회 교육위원회에 전달한 상태로 오는 7일부터 실시되는 대전시교육청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현행 교육정책을 검증, 개선방향을 공론화한다는 계획이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조기대선 '경고장' 날아왔다…尹 탄핵 심판 선고 전 4·2 재보선 참패한 與 [정국돋보기]](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2810145687798_1743124495.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