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부터 가맹점 모집…파리바게뜨, 프랜차이즈업계 첫 도입
3400여곳 매장에 선봬…맥도날드·아모레퍼시픽 등과 협의 중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PC그룹이 최근 서울시의 협의를 끝내고 서울페이를 파리바게뜨 가맹점에 도입하기로 했다. 파리바게뜨 가맹점 3400여곳이 대상이다. 이날부터 서울시가 12월 서울페이 시범시행을 위해 가맹점 모집에 나선 가운데 프랜차이즈업계와 협의한 첫 결과물이다.
서울페이는 결제과정에서 중간단계인 밴(VAN)사와 카드사를 생략해 0%대의 수수료가 가능하도록 한 결제 수단이다. 모바일 간편결제 애플리케이션(앱)으로 판매자 QR코드를 인식하거나, 판매점 포스(POS)기로 구매자의 간편결제 앱을 스캔하면 구매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돈이 이체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체 수수료는 은행들이 부담하고, 플랫폼 이용료는 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 사업자가 낸다. 이렇게 해서 수수료는 0원이 된다. 이용자에게는 결제비용의 40%를 소득공제로 인정하는 등 인센티브를 줄 예정이다. 즉, 소상공인에 대한 결제수수료가 제로화될 수 있도록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서 만들어나가는 결제 서비스다.
SPC그룹 관계자는 "파리바게뜨 3400여곳에 서울페이를 도입하기로 했다"며 "다만, 배스킨라빈스 등 에서는 서울페이가 안정적으로 정착하면 추이를 봐서 도입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페이를 통해 결제가 이뤄질 경우 연매출 8억원 이하 소상공인이 부담해야 할 수수료는 없다. 8억원 초과~12억원 이하 0.3%, 12억원 이상은 0.5%로 정해졌다. 기존 신용카드 결제 수수료율이 0.8∼2.3%였던 것과 비교하면 소상공인들의 수수료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당초 연 매출 5억원 이하의 사업자에게만 수수료 0%를 적용하려고 했다"며 "그러나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경우 매출에 비해 이익률이 낮아 매출 기준을 올렸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12월 서울페이 도입을 위해 가맹점 확보에 최대한 집중할 방침이다. 맥도날드, BBQ, 카페베네, 크린토피아 등 프랜차이즈를 비롯해 GS25, CU 등 편의점과 아모레퍼시픽 등과도 협의를 진행중에 있다.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조기대선 '경고장' 날아왔다…尹 탄핵 심판 선고 전 4·2 재보선 참패한 與 [정국돋보기]](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2810145687798_1743124495.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