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별개 연내 서울 답방
예정됐던 방러 성사 가능성
북·중 회담엔 영향 미칠 수도
[아시아경제 이설 기자] 북·미 정상회담이 사실상 내년 초로 미뤄지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미 협상과 별개로 김 위원장의 방러와 서울 답방은 차질 없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북·중 정상회담은 다소 변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25일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북·미는 물밑에서 비핵화 상응조치를 두고 협상을 이어가고 있지만 북한이 확답을 주지 않고 있다. 북한이 비핵화 조치로 요구하는 대북제재 완화에 대해 미국이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재 완화 이전에 실질적인 비핵화 이행을 강조하는 미국과 평행선을 달리는 셈이다. 결국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지난 19일(현지시간) 열흘 내로 성사될 것이라고 예고한 북·미 고위급회담도 아직 날짜와 장소를 확정하지 못했다.
북·중 정상회담의 경우는 다소 변수가 있다. 김 위원장 입장에서 중국과 밀월관계를 과시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미국과 무역 전쟁을 벌이는 중국 입장에서는 부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전쟁 영향을 받고 있기에 시진핑 주석의 방북이 뒤로 미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이전에 시 주석의 평양 방문이 성사될 것이란 분석도 있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시 주석 입장에선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이전에 (김 위원장과) 만나는 게 한반도 문제에 개입하려는 듯 보여 부담스러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 입장에서는 협상력을 제고하려는 측면에서 북·미 협상 전에 중·러로부터 지지를 받으려 할 것"이라면서도 "문제는 중·러가 미국과 갈등관계에 있어 기대한 만큼 효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설 기자 sseo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