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강서 PC방 사건, 개인 문제 vs 사회가 만든 ‘히키코모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서비스가 불친절하다는 이유로 PC방 아르바이트생을 흉기로 찔러 숨지게 한 혐의를 받는 김성수 씨가 22일 오전 서울 양천경찰서에서 공주 치료감호소로 가기 위해 경찰서를 나서고 있다. 김 씨는 이곳에서 길게는 한 달간 정신감정을 받는다. 사진=연합뉴스

서비스가 불친절하다는 이유로 PC방 아르바이트생을 흉기로 찔러 숨지게 한 혐의를 받는 김성수 씨가 22일 오전 서울 양천경찰서에서 공주 치료감호소로 가기 위해 경찰서를 나서고 있다. 김 씨는 이곳에서 길게는 한 달간 정신감정을 받는다. 사진=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한승곤 기자] “완전 찐X 같이 생겼네”,“딱 봐도 사이즈 나온다”,“완전 범죄자상 아니냐”
강서구 PC방 살인사건의 피의자 김성수(29) 씨의 얼굴 이름 등 신상이 공개된 22일 관련 기사 댓글을 통해 쏟아진 반응이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그의 동창이라며 밝힌 A 씨가 그의 고교 시절 졸업앨범을 올리고 “구석 자리에서 판타지 소설 읽다가 뒤통수 맞던 새X, 30살 백수 히키코모리, 중증 우울증 환자”라고 조롱했다.

또 다른 커뮤니티에는 그의 중·고교 시절 졸업앨범 사진이 올라왔다. 해당 게시글에 대한 반응도 앞서 반응과 같았다.
하지만 다른 의견도 눈에 띄었다. 한 네티즌은 “살인범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밝히면서, 이번 끔찍한 사건은 어떻게 보면 우리 사회가 만들어낸 괴물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신상 공개한 동창도 어떻게 보면 이 사건에 넓게 보면 공범이다. 그 찐X를 친구로 잘 지냈다면 왕따가 아니라 정상적으로 사회생활 했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해당 글이 올라오자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학창시절 괴롭힘을 당했다거나 따돌림을 당해 분노조절장애가 생겨도 모두 살인을 저지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22일 오전 서울 강서구의 한 PC방 앞 흉기 살인사건으로 목숨을 잃은 아르바이트생을 추모하는 공간에 추모하는 국화가 놓여 있다. 지난 14일 서비스가 불친절하다는 이유로 아르바이트생을 흉기로 찔러 숨지게 한 혐의를 받는 김성수 씨는 이날 공주 치료감호소로 옮겨져 길게는 한 달간 정신감정을 받는다. 사진=연합뉴스

22일 오전 서울 강서구의 한 PC방 앞 흉기 살인사건으로 목숨을 잃은 아르바이트생을 추모하는 공간에 추모하는 국화가 놓여 있다. 지난 14일 서비스가 불친절하다는 이유로 아르바이트생을 흉기로 찔러 숨지게 한 혐의를 받는 김성수 씨는 이날 공주 치료감호소로 옮겨져 길게는 한 달간 정신감정을 받는다. 사진=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반면 강서구 PC방 사건을 사회적 문제로 생각하는 의견도 있다.

김 씨 동창이 증언한 ‘따돌림’, ‘괴롭힘’ 등은 사회적 문제고, 이런 문제가 김 씨를 둘러싸고 지속해서 반복하고 있는 가운데 피해자 신 모(21) 씨도 자신을 무시한다고 생각해 결국 범죄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실제로 김 씨는 경찰 조사에서 “(PC방에서) 그 난리를 쳤는데도 돈(게임비)도 못 돌려받아 억울하고 분한 생각이 들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한 네티즌은 “따돌림을 아직도 사회문제가 아닌 개인 문제로 계속해서 여긴다면, 어렸을 때부터 지속하는 조롱과 무시를 당해오다 보면 무시가 살인 이유가 되는 겁니다”라며 “무시가 살인 이유가 되는 순간 내 형제, 친구, 자식이 PC알바와 같은 상황에 처 할 수 있다고 봅니다.”라고 강조했다.

또 “30살...무직 히키코모리면 의기소침해지고 피해망상에 피해 의식이 깊어집니다. 그래서 누구 조금만 불친절해도 내가 백수고 못나서 저새X가 날 무시하는 거다 라는 피해망상에 빠져 달려드는 인간들 어마어마하게 많이 생길 겁니다 지금 같은 초양극화(사회) 에서는 더욱더 심해지겠죠”라는 의견도 나왔다.

다른 네티즌 역시 “근데 걱정되는 건 앞으로 이런 일이 더 많이 벌어질것 같아요. 이건 분명 사회적인 문제도 작용한다고 생각되네요.”라며 역시 사회적 문제임을 주장했다.

한편 히키코모리란 은둔형 외톨이를 말한다. 대검찰청이 발간한 ‘묻지만 범죄에 대한 외국사례 및 대처방안 연구‘를 보면 일본에서는 2000년대 후반 히키코모리 살인,도리마(길거리 악마)살인 등 묻지마 범죄가 급증했다.

히키코모리는 실직이나 이혼 등의 과정을 통해 사회적으로 고립된 개인은 스트레스를 해소할 기회를 찾지 못한 채 우울과 불안 등 부정적 감정으로 침잠하게 되고 때로는 극단적인 폭력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씨 범행을 분석한 전문가 의견도 이와 비슷하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김 씨에 대해 ‘수동적으로 공격적인(Passive-Aggressivity)’ 성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평상시에는 분노를 잘 표현하지 못하다가, 본인을 자극하는 특정 상황이 발생하면 폭발적으로 분노하는 성향을 말한다.

일본거리 풍경.사진=연합뉴스

일본거리 풍경.사진=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문제는 히키코모리에 대한 집계가 전혀 없다는 데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권미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 입법조사처로부터 제출받은 '은둔형 외톨이 현황' 조사 자료에 따르면, 국가 차원에서는 히키코모리의 규모조차 확인할 수 있는 통계 등 자료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히키코모리를 추산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는 13년 전인 2005년 민간단체인 한국청소년상담원과 동남정신과 여인중 원장이 우리나라의 은둔형 외톨이가 약 30만∼50만명 정도 될 것으로 추산한 사례가 전부인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자료에 따르면 학교 중도 탈락자와 인터넷·게임 중독자까지 포함하면 우리나라 은둔형 외톨이는 100만명 이상이 될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일본의 경우 지난해 10월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광고대행사 JR동일본기획이 20~79세 2,200명(학생 제외)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20대 청년들이 70대 노인들보다도 외출 횟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의 60% 이상은 자신을 은둔형외톨이인 히키코모리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35%는 “하루 종일 집 안에서 지낼수 있는 편이다”고 응답했다. 72%는 집안에서 취미 생활을 하는 ‘인도어파(Indoor派)’로 스스로를 정의했다.

JR동일본기획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보급돼 일, 오락 등 많은 일들을 집에서 끝낼 수 있게 됐다”며 “이런 상황이 앞으로 확대하면 사회의 정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김 씨는 22일 오전 11시 정신감정을 받기 위해 충남 공주의 치료감호소로 이송됐다. 김 씨는 이곳에서 길게는 1개월 동안 정신감정을 받고, 재판부는 이 결과를 근거로 김 씨의 심신미약 여부를 판단한다.




한승곤 기자 hs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