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예산처는 지난 3일 '판문점선언 관련 경제협력규모 보도에 대한 국회예산정책처의 입장'이라는 자료를 통해 향후 경제협력 사업 분야에 대한 비용 규모는 남북간 세부 협상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전했다.
총 소요비용에는 북한의 자체 부담, 다른 나라 및 국제기구의 분담, 민간(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투자가 포함돼 있으며 국가재정은 이러한 부분들을 제외한 지원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국토연구원은 2013년 남북 도로 사업에 22조9000억원, 철도 사업에 19조120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했다. 남포 발전단지 및 지역 송배전망 건설에 6조4700억원, 화력 및 수력발전소 현대화에는 2조5000억원 등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금융위원회는 2014년 북한 내 통신 인프라 육성에 소요되는 돈이 약 10조6000억원, 농림수산업 부문 육성에는 약 29조7000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했다.
판문점 선언 이행 비용뿐 아니라 통일비용도 기관별로 추산 근거와 반영 범위, 시기 등에 따라 다르다. 금융위원회와 KDB산업은행은 지난 6월 남북 통합에 앞서 북한 개발을 위해 필요한 재원 규모를 총 5천억 달러(약 540조원)로 추산했다, 국회예산정책원은 45년간 통일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고, 그 비용이 10년 평균 2300조원, 1년에 230조원의 통일비용을 예상했다. 통일연구원에서는 통일 직후 20년간 3440조원의 통일비용을 추정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