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위원은 "신남방정책은 사람, 번역을 기반으로 한 평화협력의 방향으로 가야한다"며 "사회문화, 경제협력의 경우 상호 큰 신뢰없이 이익을 기반으로 협력이 발생할 수 있지만, 정치안보협력을 포함하는 평화협력은 전략적 신뢰가 있을 때 가능한 것으로 한-아세안 협력을 한단계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한반도 문제에 집중된 정부와 국민적 관심을 신남방정책과 효과적으로 연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세안이 북핵문제 해결이라는 1차과제에는 큰 힘을 쓸 수없다"면서도 "하지만 개혁개방이라는 2차 과제에는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북한의 비핵화 이후 아세안의 활용방안을 감안해 지금부터 아세안정책을 고민해 나가야한다는 설명이다.
문재인정부가 신남방정책을 발표하며 아세안 및 인도와의 관계를 주변 4강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발표한 것은 지난해 11월이다. 한반도를 둘러싼 세계 정세가 급격히 변화하는 가운데서도 선제적 지역으로서 아세안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는 "빠른 시일 내 (신남방정책의 핵심가치인) 3P를 보다 구체화한 방향성, 이 방향성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 정책 대안과 프로그램들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며 "아세안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기 위한 국내적 조치도 장기적 계획을 수립하고 재원을 투입해서 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아세안 국가에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에게는 "지금처럼 단순한 경제협력, 즉 한국의 일방적 수출이 주도하는 무역액 증가와 한국의 대 아세안 투자로는 양자관계, 한국 기업의 경제활동의 미래가 지속가능하지 않을 것"이라며 "함께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세안을 시장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생산기지로 어떻게 활용할지를 고민해야 한다"며 "이런 고민에는 한국 국내 시장을 목표로 한 대 아세안 투자를 통해 무역 적자를 줄이는 것도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