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평양공동취재단] 남북은 3차 남북정상회담 이튿날인 19일 2차 회담에서 구체적 비핵화 해법을 마련하기 위한 협의에 착수한다. 비핵화 첫 관문이라고 볼 수 있는 신고·검증 수용 여부가 확인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문 대통령은 전날 가진 만찬에서 "군사,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분야에서 내실 있는 발전을 이루고, 남과 북 사이에 군사적 긴장과 전쟁의 공포를 완전히 해소하는 방안을 진지하게 논의하겠다"면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정착도 중요한 의제"라고 강조했다.
이날 두번째 회담에서는 세부적인 사항을 협의하면서 비핵화 실천적 방안을 구체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막판 조율이 예상된다. 공동기자회견에서 공동선언문을 낭독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김 위원장이 공식석상에서 비핵화 의지를 밝힐지가 관건이다.
특히 이는 미국에 보내는 시그널로 해석할 수 있어 북·미 대화 재개는 물론 종전선언을 위한 청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김 위원장이 직접 공개석상에서 밝힌 만큼 신뢰도가 높고 예측 가능한 비핵화 로드맵을 만들 수 있다"며 "미국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을 재추진할 것이고, 북한이 요구하는 종전선언과 미국이 원하는 핵 리스트 신고가 합의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남북이 선언문 또는 합의문 등에 구체적인 비핵화 실천적 방안, 또는 비핵화 시한 등을 제시할 것인가도 주목된다.
'판문점선언'에서 "남과 북은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했다"며 "남과 북은 북측이 취하고 있는 주동적인 조치들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대단히 의의 있고 중대한 조치라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앞으로 각기 자기의 책임과 역할을 다하기로 했다"는 수준의 합의를 이룬 바 있다.
이번 이른바 '평양선언'에서는 이보다 진전된 합의문이 명문화되야 한다는 지적이다. 핵신고리스트 제출이나 폐기한 핵시설에 대한 검증 수용, 핵물질·탄두 국외반출과 같은 구체적 방안을 포함해 비핵화 이행 시기를 구체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공동취재단 기자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