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치형 두나무 의장 UDC 2018 기조연설
동남아 지역, 인프라 공백·親블록체인 정책 시너지로 잠재력↑
IT 인프라 갖춘 한국, 정책적 노력 시급해
[제주도=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동남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이 기존 정보기술(IT) 강국인 한국과 미국, 일본 등을 제치고 블록체인 생태계의 중심이 될 수도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기존 인프라 공백이 있고 적극적인 친(親) 블록체인 정책을 펼치는 국가들이 향후 발전 여지가 더욱 크다는 이유에서다. 때문에 한국이 블록체인 주도권 경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정책적 노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13일 송치형 두나무 의장은 제주도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18'의 기조연설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아직 미성숙한 시장인 만큼 발전여지가 남아있는 환경에서 정책적 노력이 수반되면 큰 폭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송 의장은 현재 블록체인 및 가상통화 시장이 아직 미성숙하다고 주장했다. 업종·종목 별로 가격 변동이 제각각인 주식시장과 달리 대부분의 가상통화 가격변동이 유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는 "업비트의 가상통화 지수인 'UBCI 인덱스'를 보면 거의 모든 가상통화의 가격이 유사하게 움직이는데 이는 아직 시장이 미성숙했다는 증거"라며 "주식처럼 상관관계가 다른 가상통화들이 많이 나올 때 시장이 성숙해지고 대중적인 서비스가 나왔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블록체인 세상'이 오기 위해선 임계점을 뚫는 순간이 필요하며, 동남아시아 지역이 상당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송 의장은 "IT 인프라가 발달된 한국, 미국, 일본보다 오히려 강한 정책적인 드라이브를 걸고 있거나 기존 인프라의 공백이 있는 동남아시아가 상당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며 "싱가포르는 지속적으로 친 가상통화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태국 역시 블록체인 기술 리더로 도약하기 위해 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가상통화공개(ICO) 포털과 증권형(시큐리티) 토큰 거래를 허가하는 등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들이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프라 공백과 관련해선 모바일결제 분야를 예시로 들었다. 송 의장은 "신용카드라는 강력한 대체재 인프라가 없는 중국은 신용카드를 넘어서 바로모바일결제 중심의 인프라를 형성한 결과 미국의 10배가 넘는 모바일결제 시장을 확보했다"며 "이러한 관점에서 최초의 수많은 규제와 기존 인프라와 경쟁해야 하는 선진국 시장보다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 같은 개발도상국가에서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한국이 블록체인 생태계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정책차원에서 블록체인과 가상통화 시장을 적극 지원하고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송 의장은 "여러 가상통화 프로젝트들을 보면 증권형 토큰이라면 자연스러운데 규제 때문에 이를 피하고 유틸리티 토큰으로 만들기 위해 빙빙 꼬는 경우가 많다"며 "증권형 토큰은 블록체인의 핵심 성격인 유동화와 딱 들어맞으며 글로벌 거래, 마이크로 거래, 이를 통한 신규 상품 등 다양한 전개가 가능하다"고 했다. 이어 "과거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이 등장했을 당시 전국의 학생들이 매달리자 마약과 같은 중독성과 부작용을 걱정했다"며 "그 때 그 부작용만 생각하고 규제만 했다면 지금의 게임 강국은 없었을 것"이라고 규제 완화의 필요성을 비유했다.
송 의장은 지난 2012년 두나무를 만든 뒤 '뉴스메이트', '증권 메이트 포 카카오(현 카카오증권)' 등을 개발했다. 지난해 10월 미국 가상통화 거래소 비트렉스와 협업하며 업비트를 설립, 국내 빅2 거래소로 안착시켰다. 지난해 12월 두나무 대표직을 이석우 전 카카오 공동대표에게 넘기고 이사회 의장으로 물러나 신규 사업 발굴에 매진하고 있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계엄 당일 尹 “총 쏴서라도 끌어내고 4명이 1명씩...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