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클릭 e종목]'1조달러 클럽' 입성 아마존, "크고 빠르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덩치가 큰데 빠르기까지'. 애플에 이어 두번째로 시가총액 1조달러 클럽에 가입한 아마존에 대한 평가다.
김효진 SK증권 연구원은 아마존에 대해 넷플릭스 등 경쟁사보다 시가총액 사이즈가 큰 사실을 고려하면 성장세가 가파르다고 봤다.

김 연구원에 따르면 아마존 주가는 올해 75% 상승했는데 앞으로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MAGA'로 불리는 다른 거대 정보기술(IT) 기업 멤버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애플보다 매출 성장률이 높다.

김 연구원은 "지난 상반기 아마존과 넷플릭스의 매출 증가율은 각각 41%, 40%인데 아마존 매출이 넷플릭스의 15배 수준이므로 그만큼 아마존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일반적으로 규모가 커질수록 성장세가 둔해지는 것이 다른 기업들의 성장 경로인 사실을 고려하면 그야말로 '군계일학(Outstanding)'"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내 소매는 물론 클라우드 시장 성장세가 가파른 사실이 앞으로 아마존의 성장 동력(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김 연구원은 예상했다. 최근 클라우드 시장 판세를 보면 높은 점유율을 확보한 기업이 갈수록 커지고 작은 기업들은 통폐합되고 있기 때문. 아마존과 MS는 클라우드 신생 기업의 채택 1순위라고 한다.

김 연구원은 "SK증권은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시장지배력을 키울 소 있는AWS,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는데, 아마존이 이미 클라우드 시장 35%를 점유하고 있어 앞으로도 오랫동안 1위 자리를 지킬 것"이라고 예상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