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내년도 정부 예산의 30% 가량은 저소득ㆍ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소득양극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쓰인다. 저출산ㆍ고령화, 청년실업난 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상하위 가계의 소득 격차까지 크게 벌어지면서 사회안전망 확충을 위한 복지 예산은 나날이 몸집을 키우고 있다.
28일 정부가 발표한 '2019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 보건ㆍ복지ㆍ노동 예산은 올해보다 17조6000억원(12.1%) 증가한 162조2000억원에 달한다. 이 중 일자리 예산(23조5000억원)을 제외하면 전체 예산의 30% 가량이 저소득ㆍ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복지 정책에 쓰일 전망이다.
정부는 노인ㆍ장애인 외에도 저소득ㆍ취약계층의 기초생활보장 강화를 위해 올해보다 1조7000억원 증액한 12조7000억원을 투입한다.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을 완화하고, 주거급여는 지원기준을 중위소득 43%에서 44%로 확대하는 등 대상자를 늘린다. 의료급여 대상도 기존 150만명에서 152만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소외계층 지원 예산도 확대된다. 한부모 가족 아동양육비 지원연령과 금액을 높여 생계비 부담을 낮춘다. 이를 통해 한부모 아동양육비 지원대상이 11만5000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보육원 등에서 퇴소하는 보호종료 아동 자립 지원을 위해 퇴소 2년 미만 아동에게 월 30만원의 자립수당도 지급한다.
부모의 경제력이 자녀의 교육 투자 수준을 좌우하고 '개천에서 용'이 나오는 경우가 드물어지자 '계층이동 사다리' 역할을 해줄 신규 사업도 고안해냈다. 복권기금, 국민체육진흥기금 등을 활용해 저소득층 중ㆍ고생과 학생선수에게 월평균 40만원을 지급하고 성인으로 자립할 때까지 관리해주는 장학사업을 신설했다.
이 밖에 100만 점포를 대상으로 소상공인 전용결제시스템(제로페이) 구축ㆍ확산을 지원하는 한편 경영안정자금(3000억원), 신용보증(2조원) 확대로 소상공인에 대한 자금지원을 강화한다. 자영업 폐업 후에도 재기가 가능하도록 임금 근로자로의 전환교육 대상을 늘리고, 전직 장려수당을 최대 100만원까지 인상한다. 1인 영세 자영업자에 대한 고용보험료 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7개월 연속 실업자 수가 100만명대를 기록하는 등 실업난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자 정부는 고용 안전망 강화에도 힘을 실었다. 내년 실업급여(구직급여) 지원 예산을 올해(6조2000억원)보다 1조2000억원 늘린 7조4000억원으로 편성했다. 실업급여 지급 수준을 실직 전 3개월간 평균임금의 50%에서 60%로 인상하고, 지급기간은 최대 8개월에서 9개월까지 연장한다. 저소득 근로자, 영세사업주 등 취약계층의 사회보험료 지원을 확대하고, 특수형태근로자ㆍ예술인 등도 고용보험 가입을 허용키로 했다.
청년실업에 대한 재정 지원도 확대한다. 내년에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신설해 청년 실업자 10만명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한다. 중위소득 120% 이하 구직청년에게 6개월간 월 5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여기에 취업성공패키지사업에 참여한 중위소득 50% 이하 저소득층에게 3개월간 월 30만원의 구직촉진 수당을 지급하는 사업을 신규로 진행한다. 청년 2만4000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이병훈 중앙대 교수는 "정부가 일자리, 소득분배 문제로 어려움을 겪다보니 관련 예산을 늘리고 재정확장 정책을 쓰는 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노동시장 이중구조, 일자리 격차 문제 등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이 함께 이뤄져야 재정투입 효과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