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철 총장은‥'나노스핀닉스' 처음 개척한 선구자
신성철 KAIST 총장(66세)은 국내 과학계에 새바람을 일으켜 온 석학이다. 1952년생으로 KAIST 동문 출신 첫 총장인 그는 1975년 서울대 응용물리학과 이학사를 거쳐, 1977년 KAIST에서 고체물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1984년 미국 노스웨스턴대 재료물리학 박사를 취득했다. 노스웨스턴대 박사과정 중 금속인 '비스무트'와 반도체인 '납텔루라이드(PbTe)'의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 두 물질로 초격자 다층박막 구조를 세계 최초로 만들어 초격자 구조 신물질을 제작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1989년 귀국해 모교인 KAIST 교수로 임용됐다. 미국의 기업 연구소에서 받던 연봉의 20%로 보수가 줄었지만 머뭇거리지 않았다. "당연히 돌아와 국가를 위해서 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그는 말했다.
신 총장의 교육현장에서 탁월한 경영 능력은 KAIST 총장 취임 전 이미 정평이 났다. 2011년부터 2017년 2월까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총장을 맡아 신입생 유치를 위해 전국 70여 개 고교를 돌며 향후 기관 발전 모델을 제시했던 이야기는 아직도 회자되고 있다. 그는 DGIST 총장 시절부터 KAIST 총장인 지금까지 이공계 학생들에게 인문학적 소양이 필요함을 꾸준히 강조해 온 것으로도 유명하다. "연구ㆍ개발에 있어 대세로 자리 잡은 협업과 융합은 감사와 배려가 중요 덕목이어야 이뤄질 수 있다"며 구성원 간 인사를 강조했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주요 경력
▲2017년~ KAIST 제16대 총장
▲2011년~2017년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초대총장 및 제2대 총장
▲2015년~2016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2011년~2012년 한국물리학회 회장
▲2009년~2012년 국제자성학술대회(ICM2012) 의장
▲2009년~2010년 한국자기학회 회장
▲2004년~2005년 KAIST 부총장
▲2004년~2010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국제협력부장
▲2001년~2003년 KAIST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초대 소장
▲1999년~2005년 엑스포과학공원 이사
▲1998년~2005년 KAIST 스핀정보물질창의연구단장
▲1991년~1996년 KAIST 학생부처장ㆍ국제협력실장ㆍ기획처장
▲1989년~2017년 KAIST 물리학과 교수, 석좌교수
▲1984년~1989년 미국 Eastman Kodak연구소 수석연구원
▲1977년~1980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