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한 철도 노선의 연결이 아니었다. 미국으로선 1849년 캘리포니아에 금광이 발견되면서 급속도로 개발되기 시작한 서부와 동부를 연결한다는 의미가 컸다. 동서 횡단 철도가 신생국 미국을 경제 대국으로 발돋움시키는 견인차가 될 것을 예상하고 풋내기 변호사 시절부터 그 구상에 참여했던 한 정치인인 링컨 대통령의 꿈이 완성되는 순간이기도 했다. 그가 대통령에 취임했던 1861년도에 이 사업의 한 축인 센트럴퍼시픽 회사가 출범한 게 우연이 아니다.
이제 아직도 단절된 세상인 남과 북을 철도로 잇고, 더 나아가 섬이 아닌 섬이 돼 버린 우리나라를 대륙으로 잇기 위한 구상이 또다시 나왔다. 문재인 대통령은 광복절에 발표한 남북경제협력 구상에서 북한과의 철도 연결을 중장기적으로 동아시아 철도 공동체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남북 철도망을 시베리아횡단철도, 중국횡단철도 등과 연결해 동북아와 유라시아를 잇는 '철의 실크로드'다. 해상운송에 비해 비용과 거리가 대폭 줄어들고 극동 지역의 에너지 자원개발이 불 붙을 수 있다는 경제적 의미는 다 아는 얘기다. 여기에 남ㆍ북ㆍ일ㆍ중ㆍ러ㆍ몽골 등 동북아 6개국뿐만 아니라 미국까지 참여할 수 있게 돼 철의 실크로드가 평화의 철도가 될지도 모를 일이다.
남북 철도 연결은 이미 첫발을 뗀 상태다. 남북은 지난달 동해선과 경의선 철도 북측 연결구간을 공동 점검했고, 이달 말 북측 구간 공동 조사도 앞두고 있다. 잘 하면 철도, 도로 연결 착공식이 올해 안애 이뤄질 수도 있다. 판문점 선언이 한 단계 진전된 셈이다. 일제가 군용으로 건설한 경의선과 경원선이 이제 평화의 상징이 됐다는 게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물론 과거에 비해 21세기에 있어서 철도의 정치ㆍ사회ㆍ경제적 의의는 줄어든 게 사실이다. 철도가 등장한 이후 생겨난 자동차가 있고, 전화와 인터넷 등의 새로운 소통수단이 발달했기 때문에 단순한 운송 및 소통 수단으로서의 의미는 반감할 수밖에 없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서부개척시대에 대륙횡단철도가 엄청난 사회ㆍ경제적 의미를 가졌듯이 교통 인프라가 극도로 취약한 북한 지역의 경우 철도 현대화 사업이 갖는 의미는 각별할 수밖에 없다. 소외된 지역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시베리아 및 중국횡단 철도와 연결될 경우 낙후된 북한 경제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최성범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겸임교수
꼭 봐야할 주요뉴스
韓재계 최초 트럼프 취임식 초청 받았다…'미국통'...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