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비자들이 소비 자신감을 급격히 잃어버리고 있는 이유는 베이비부머 은퇴가 시작됐고 1958년생 베이비부머들이 일구었던 제조업기반의 경제가 그 유효기간을 다하면서 소득이 정체되기 시작한 때문이다. 더불어 저출산 고령화가 세계 최대의 속도로 진행되면서 우리 내수시장의 주력 소비자(30~54세 인구)의 수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3만달러에 육박하는 경제에서 내수시장은 성장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한국 경제가 3% 이상 지속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 다음의 두 가지 조치가 필요하다.
첫째, 1958년생 민주화세대의 경제적 자산을 1988년생 세계화 세대 한국인들에게 보다 용이하게 이전해주어야 한다. 독일에서는 중소기업의 증여와 상속에 세금이 없다. 그래서 50년, 100년 기업이 허다하다. 이제 60세를 갓 넘은 1958년생 한국인들의 부와 경제 자원이 최소의 비용으로 차세대로 이전돼야 향후 한국 내수시장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다.
1988년생 이사배는 뷰티크리에이터로 세계적으로 명성이 자자하다. 화장기술이 뛰어나서 유튜브 조회수가 180만건에 달하고 있다. 세계화 세대인 1988년 출생자는 이전 세대가 가졌던 헝그리 정신은 없지만 한류라고 하는 문화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코리아라는 프리미엄 국가 이미지를 해외에서 활용할 수 있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플랫폼을 구축하고 그 이미지를 자본화시킬 수 있다.
위 두 가지 과제가 해결되고 남북 경제통합이라는 기대하지 않았던 행운까지 생긴다면 1988년생 이사배도 30년 선배인 1958년생 한국인이 지난 30년간 경험했던 고속성장도 다시 한 번 맞이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1988년 이후 출생한 밀레니엄 세대 한국인들의 파이팅을 기원한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
꼭 봐야할 주요뉴스
오픈하자마자 2만명 몰렸다…올해 첫 크리스마스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