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폭염이 바꾼 식탁]"김치 재료값 폭등에 차라리 사먹자"…포장김치 '불티'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배추값 한달 전보다 91% 상승…만드는 것보다 사먹는 게 경제적
계속되는 폭염에 배추값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포장김치를 찾는 고객들이 늘고 있다. 12일 서울의 한 대형 유통매장을 찾은 한 고객이 포장김치를 고르고 있다./윤동주 기자 doso7@

계속되는 폭염에 배추값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포장김치를 찾는 고객들이 늘고 있다. 12일 서울의 한 대형 유통매장을 찾은 한 고객이 포장김치를 고르고 있다./윤동주 기자 doso7@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폭염으로 배추ㆍ무ㆍ고추 등 김치 재료 물가가 치솟자 포장김치 매출이 덩달아 뛰고 있다. 급격히 오른 채솟값에 김치 담그기를 포기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서다. 포장김치의 경우 김치 제조업체들이 계약 재배를 통해 싼 값에 채소를 공급받아 가격 등락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 이 때문에 장바구니 물가가 부담스러운 주부들이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포장김치에 눈을 돌리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10일 현재 GS홈쇼핑이 판매한 종가집 김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늘었다. 지난 3일 방송에서는 포기김치 11kg와 열무김치 1kg를 5만9900원에 판매한 세트 상품이 1시간에 7500세트가 팔리는 기염을 토했다. GS홈쇼핑 관계자는 "미리 농가와 계약해 배추나 건고추를 싸게 들여오기 때문에 이런 가격이 가능한 것"이라며 "이달에는 주 2회씩 방송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CJ ENM이 판매한 김치도 매진 행렬을 이어갔다. 지난 7일 판매한 김나운의 더 키친 집밥 포기김치 11kg상품은 41분만에 2200개 세트가 팔렸다. CJ몰 역시 1일부터 8일까지 김치 판매량이 전월 동기 대비 90%나 증가했다.

대형마트의 판매 상황도 비슷하다. 롯데마트의 경우 지난해 7월 대비 올해 7월 김치 매출액은 22.4% 신장했다. 이마트 역시 같은 기간 15% 증가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올해 폭염 피해같이 매년 들쑥날쑥한 채소 가격 탓에 직접 만들어 먹을 경우 사 먹는 것과 비교해 비용이 더 들기도 때문에 소량씩 사먹을 수 있는 포장김치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9일 현재 배추 한 포기 가격은 6010원에 달한다. 한달 전(3144원)보다 무려 91.2%나 올랐다. 무 역시 1개 값도 3632원으로 한달 전 에 비해 75.7%(2067원) 뛰었다. 고추 가격도 오름세다. 건고추 600g 기준 가격은 1만7033원으로 평년보다 68.5% 올랐다. 이 밖에 같은 기준 열무(1kg)는 63.0%(3332원), 파(1kg)는 15.2%(2940원) 가격이 상승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 관측 본부는 고랭지배추 주산지는 1994년 이후 최대 폭염 일수를 기록해 출하량이 급격히 줄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8월 가락시장 상품 기준으로 배추 3포기(10kg)당 도매 가격은 평년(1만500원)보다 42% 오른 1만5000원이 예상된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