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 최저임금 인상결정에 불복한 소상공인들이 전국적인 세(勢)몰이를 통해 단체행동에 나선다.
이들 단체는 출범식에서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에 대응해 ▲고용노동부 이의신청 제기 ▲노ㆍ사 자율협약 표준 근로계약서 작성 및 보급 ▲생존권 사수 집회 개최 등의 운동 방향을 채택한다. 최저임금 정책의 전환 촉구 등을 담은 '소상공인 생존권 운동연대 출범 결의서'를 채택하고 서명할 계획이다. 분과위원회를 구성하고 지역별, 업종별로도 추진본부를 구성할 예정이다. 이들은 분출된 민심과 단체행동의 집결지로 광화문을 선택했다. 광화문에 민원센터를 설치해 최저임금 인상 등에 관한 소상공인들의 불만과 피해사례를 접수할 계획이다. 소상공인의 최저임금 불복 운동 구심점이 될 천막 농성장도 광화문 설치가 유력하다.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소상공인들이 가게 문을 닫고 거리에 나온다는 건 생존을 위한 저항"이라며 "연대 출범을 통해 '소상공인들도 국민이다'라고 호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 결과 최저임금 인상률 차등 적용에 대한 찬성 여론이 57.2%나 됐다"며 "영세 소상공인들의 지불능력을 감안해 차등화가 시행돼야한다는 국민들의 지지가 확인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기중앙회 조사에서 최저임금으로 인한 위기상황을 헤쳐나갈 대응방안(복수응답)으로는 규모와 업종에 상관없이 '직원축소'(53.1%)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메뉴개발ㆍ비용절감 등 시장친화 노력'(29.2%), '가격인상'(13.3%), '근로시간 단축'(11.5%), '사업포기 고려'(11.5%)로 나타났다.
전년과 비교해 경영상황을 묻는 질문에는 올해 상반기 매출 등을 기준으로 응답자의 75.3%가 '위기상황'이라고 답했다. 상반기 경영이 위기상황이라고 응답한 75.3%의 월매출액 감소폭은 '20% 미만 감소'가 55.8%로 높게 나타났다. 44.2%는 '20% 이상 감소'라고 답했다. 경영상황이 위기인 주된 이유(복수응답)로는 '내수(판매) 부진'(61.1%), '최저임금 인상 등 직원인건비 부담 가중'(57.5%), '경쟁심화'(30.1%), '재료비 인상'(29.2%) 순으로 나타났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정부는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카드수수료 인하, 보완세제대책, 임대료 억제를 위한 임대차보호법 개정 등을 추진하고 최저임금의 업종별ㆍ규모별 구분적용도 제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한국에 도와달라 하자"…맥주 만들다 원전기술 '번뜩' 덴마크 박사들의 SOS [기업연구소]](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1710380123572_1744853881.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