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용 개성공단기업 비대위원장 등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들이 지난 11일 국회에서 '정부의 개성공단 방북 승인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윤동주 기자 doso7@
[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 이설 기자] 남북미 정상회담은 새로운 한반도 평화시대를 열었다고 평가받지만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남모르는 속앓이 중이다. 남북간 교류가 철도, 체육 등 공공은 물론 민간까지 확대되고 있지만 입주기업들의 방북 요청은 또다시 보류될 것으로 보인다.
17일 통일부 관계자는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지난 11일 기자회견을 통해 밝힌 방북 승인 요청에 대해 "비핵화 진전 없이는 제재를 풀 수 없다는 점을 정부는 강조하고 있다"며 "승인 여부는 아직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은 2016년 2월 공단 가동 중단 이후 다섯 차례 방북을 신청했지만 번번이 거절당했다. 이번에도 정부의 답변은 사실상 보류다. 비슷한 시기 방북을 요청한 현대그룹과 민족화해협력 범국민협의회는 지난 12일 방북이 승인됐다.
방북이 또 다시 멀어지는 분위기에 개성공단 입주기업 사이에선 격앙된 반응도 나왔다. 신한용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개성기업들을 너무 등한시하는 것 아닌가. 실망스럽다"고 운을 뗐다. 신 회장은 "남북 정상이 대화했다면 이제 우리 정부가 주도해야할 국면"이라며 "김대중, 노무현 정부 때도 국제 관계는 냉랭했지만 정부가 의지를 갖고 금강산 관광ㆍ개성공단 을 추진했다"라고 말했다.
남북 정상회담 이후 곧장 풀릴 것만 같았던 개성공단의 빗장은 여전하다. 공단 재개라는 희망에 차 지난 5월 발족했던 '개성공단 재가동 준비 태스크포스(TF)'는 개점휴업이다. 섬유봉제(의류 및 신발), 화학 플라스틱 등 업종별 6개 분과별로 단계별 준비 사항을 파악하고 대비하는 역할을 했지만 남북경협 속도가 더뎌지면서 진척이 되지 않고 있다. 매주 목요일 진행예정이었던 회의는 비정기 회의로 바뀌었다. 유창근 TF단장은 "남북미 정상회담 이후에 경협에서도 진척있으리라 봤지만 그렇지 못했다"며 "회원사들의 불만도 늘고 있다"고 밝혔다.
개성공단입주기업 등에 따르면 지난 2016년 2월 폐쇄된 이후 입주기업의 실질 피해금액은 1조5000억원에 달한다. 개성공단에 매인 투자ㆍ유동자산뿐 아니라 가동 중단 후 경영 악화로 인한 피해가 크다. 협력사들에 제때 대금을 결제하지 못해 소송에도 휘말려있다. 시중금리 폭등으로 인한 경영자금 확보에도 어려움이 크다. 개성공단기업협회에 재무제표를 제출한 108개사의 2016년 매출은 2015년 대비 평균 26.8% 감소했다. 매출이 50% 이상 떨어진 기업(사실상 휴업ㆍ사업축소)도 23%인 25곳에 이르렀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이설 기자 sseo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나만 몰랐나"…스타벅스 모든 음료 4000원에 먹는...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