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깜짝 놀랄 부산·세종의 변화, 4차산업 新기술 경연장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정부,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2곳 기본구상 발표…자율주행, 스마트에너지 토대로 사람중심 혁신성장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정부가 부산 에코델타시티와 세종 5-1 생활권 등 4차산업 신(新)기술을 현실에서 구현하는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의 기본 구상을 공개했다. 자율주행, 스마트 에너지 등 기존 도시환경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혁신 기술을 실생활에 활용해 스마트시티의 미래비전을 제시하겠다는 정부의 구상이 담겼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16일 오후 2시 서울 상암DMC첨단산업센터에서 시범도시 마스터플래너(MP), 유관부처 및 지자체(세종·부산시), 사업시행자(LH·K-Water) 등과 함께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국가 시범도시는 백지상태의 부지에 4차산업혁명 관련 신술을 자유롭게 실증·접목해 창의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는 미래 스마트시티 선도모델이다.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깜짝 놀랄 부산·세종의 변화, 4차산업 新기술 경연장
AD
원본보기 아이콘


정부는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신사업 육성을 위해 자율주행차 운전자 의무 완화, 드론 활용관련 신고절차 간소화, 자가망 연계분야 확대, 공공 SW사업 참여범위 확대 등을 담은 스마트시티 도시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건폐율·용적률 등 입지규제 최소화를 통해 민간창업 지원과 투자를 촉진하는 방안이 담겼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스마트시티는 다양한 4차산업혁명 기술을 담아내는 플랫폼으로써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라며 "사람중심의 스마트시티가 성공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선정된 곳은 세종 5-1 생활권과 부산 에코델타시티다.

우선 세종 5-1 생활권은 정재승 MP의 철학을 담아 ‘시민행복을 높이고 창조적 기회를 제공하는 지속 가능한 플랫폼으로써의 도시’를 비전으로 제시했다. 특히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와 환경 등 4대 핵심 요소에 중점을 뒀다.

세종시에 부족한 헬스케어, 교육 서비스와 관련된 신기술과 서비스를 접목해 시민 행복에 다가가겠다는 정재승 MP의 철학을 반영했다. 세종 5-1 생활권의 경우 도시 공간구조와 관련한 혁신적인 제안을 기본구상에 담았다.
세종 5-1생활권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세종 5-1생활권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원본보기 아이콘


도시 전체를 리빙·소셜·퍼블릭으로만 구분하는 ‘용도지역 없는 도시(용도혼합 및 가변)’를 주요 도시구성 체계로 제안했다. 또한 도시 내에서 개인소유 차량을 이용한 Door-to-Door 이동에 따른 교통혼잡 문제, 경제적 손실을 감안해 ‘공유 자동차 기반 도시’의 개념을 제시했다.

개인 소유 자동차는 생활권으로 진입하는 입구에 주차하고, 내부에서는 자율주행차량과 공유차량, 자전거 등을 이용해 이동하는 교통운영 체계를 제안했다. 아울러 신경건축, 유니버셜 디자인 등 도시 디자인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도 강조됐다.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3대 특화전략을 토대로 ‘자연·사람·기술이 만나 미래의 생활을 앞당기는 글로벌 혁신 성장 도시’를 구현하기로 했다. 3대 특화전략 중 첫 번째는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출신인 천재원 MP의 철학을 반영한 ‘혁신 산업생태계 도시(Smart Tech City)’다.

에코델타시티를 둘러싼 물과 수변공간을 적극 활용해 세계적인 도시 브랜드를 창출한다는 목표로 ‘친환경 물 특화 도시(Smart Water City)’도 제안했다.

또한 VR·AR, BIM 기술, 3D 맵 기반 가상도시를 구축해 도시 계획-건설-운영·관리 단계에서 온라인 의견수렴과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상상이 현실이 되는 도시(Smart Digital City)’도 제안됐다.

정부는 MP가 수립한 기본구상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규제개선, 예산지원, R&D 연계, 벤처·스타트업 참여를 위한 지원, 해외진출을 위한 국제협력을 병행할 계획이다.
부산 에코델타시티 (자료제공-국토교통부)

부산 에코델타시티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원본보기 아이콘


정부는 시범도시 지정으로 인해 추가되는 사업비 중 국가 지원이 인정되는 분야에 한해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디지털 트윈 구축, 데이터·AI 센터 조성 등 시범도시 선도사업 추진과 기업유치, 실증지원 등 산업 생태계 기반마련, 국제협력 지원 등 관련 예산 지원을 협의 중이다.

아울러 시범도시가 4차산업혁명 관련 첨단 신기술의 테스트베드로써 미래 스마트시티 선도모델로 조성하기 위해 부처별로 산재돼 있는 R&D를 시범도시를 중심으로 구현하기로 했다.

사업시행자(LH·K-Water)도 기본 인프라(도로, 상하수도 등) 고도화와 토지조성 등에 소요되는 사업비를 부담할 계획이다. 또 기본구상 발표를 계기로 민간기업과 시민의 참여기회를 더욱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사업의 주요 목표 중 하나인 수출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일 계획이다. 한국-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를 통해 시범도시 모델을 수출한다는 구상이다. 한국-월드뱅크 협력사업과 월드 스마트시티 위크 등 국제 행사를 통한 홍보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손병석 국토부 제1차관은 “오늘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은 추후 민간기업과 시민, 전문가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출발점”이라며 “앞으로 기본구상을 보완·발전시켜 주체별 역할 등을 구체적으로 담은 시행계획을 연내에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