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은 부인…"개인고객 예약 돕는 것이 우선"
8일(현지시간) IT전문매체 테크레이더는 디 인포메이션을 인용해 구글이 대형 보험회사와 듀플렉스 적용을 협의중이라고 보도했다. 향후 실제 서비스에 적용된다면 보험사 고객들이 콜센터에 전화를 걸면 구글 듀플렉스가 사람을 대신해 응대해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구글은 기업용 콜센터 서비스 도입에 대해서는 부인했다. 구글 듀플렉스를 기업이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은 검토하지 않고 있으며 일반 소비자들이 미용실·식당 예약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구글 듀플렉스가 공개된 후 전화를 받은 쪽은 사람처럼 말하는 AI와 통화하면서도 사람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실제 사람 목소리를 가져다 쓰고 '흠' 같은 추임새까지 따라하는 AI가 기만적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구글은 통화할 때 통화하는 주체가 구글 어시스턴트라는 사실을 밝히고 통화 내용이 녹음된다는 사실을 공개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테크레이더는 "구글 듀플렉스에 대한 윤리적 문제로 인해 꽤 오랫동안 이 기술이 실제 서비스에 적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며 "구글 듀플렉스가 활용되기 시작하면 AI가 얼마나 빠르게 발전하는지, 우리의 일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기대할 수 있는 흥미로운 사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글 듀플렉스는 자연어처리, 딥러닝, 텍스트를 대화로 바꾸는 기술을 결합시킨 AI 기술이다. 지난 5월 구글 연례 개발자회의 구글 I/O에서 사람처럼 전화로 식당이나 미용실 등에 예약할 수 있는 동영상으로 처음 공개됐다.
한편 구글은 지난달 말부터 일부 테스트 그룹과 듀플렉스의 전화 수신을 허용한 업체를 대상으로 듀플렉스 공개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올 여름부터 업소 예약 기능도 제공할 예정이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헌재, 8:0 만장일치 파면…반대의견 없어[윤석열 파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0411373197728_1743734251.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