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2분기 삼성 갤럭시S9 참패…"갤럭시S3 이후 최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삼성전자 2분기 잠정실적 발표, 증권업계 갤럭시S9 판매량 800만대로 추정
"이대로가면 2012년 이후 갤럭시S 시리즈 중 연간 판매량 가장 낮을 수도"
2분기 삼성 갤럭시S9 참패…"갤럭시S3 이후 최저"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온유 기자] 삼성전자 갤럭시S9이 2분기 크게 부진했다. 전작 갤럭시S8와의 차별화에 실패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그 틈을 타 중국 제조사는 혁신 기술을 앞세워 빠르게 추격했다. 글로벌 시장의 침체 역시 갤럭시S9을 괴롭히고 있다.

6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58조원, 영업이익은 14조8000억원으로 추정된다. 부문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IM부문의 영업이익은 2조3000억원대로 추정된다. 이는 전분기 3조7700억원, 전년 동기 4조600억원 대비 각각 크게 줄어든 수치다.
갤럭시S9의 2분기 판매량은 800만대 수준이다. 당초 예상치 1500만대 보다 무려 700만대 적은 규모다. 이에 증권업계는 올 한해 갤럭시S9의 판매량 예상치를 4000만대에서 2800만대로 급격히 하향한 상태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1분기 갤럭시S9의 초도 출하량이 양호했으나 2분기부터 기대치를 밑돌고 있다"며 "이런 추세라면 2012년 출시된 갤럭시S3 이후 최저 판매량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갤럭시S9 부진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먼저 갤럭시S9은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는 '와우 포인트'가 부족했다. 카메라가 개선됐지만 전작 갤럭시S8와의 차별화가 부족했다. 화웨이 등 중국 제조사는 이러한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최초 트리플 카메라폰, 최초 지문인식 센서 내장형폰 등을 내놓으며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좁혀나갔다. 중국 제조사가 '최초' 경쟁에 몰두할 때 삼성전자는 '안정성'만을 추구하며 소비자에 실망감을 안겼다.

또다른 걸림돌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침체다. 전반적인 제품 완성도는 높아진 반면 혁신도는 떨어지면서 소비자는 신제품에 대한 흥미를 잃었다. 이에 중국, 미국, 한국 등 주요 지역에서 교체주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특히 100만원에 육박하는 프리미엄폰 시장에서 이러한 추세가 뚜렷하다.
삼성전자는 3분기 갤럭시노트9 출시로 분위기 반전을 노린다. 전작 갤럭시노트8 대비 2주가량 빠르게 출시해 하반기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이 제품은 내달 9일 미국 뉴욕에서 공개된다. 그러나 큰 흥행을 기대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갤럭시노트의 경우 갤럭시S 대비 글로벌 인지도가 국내 만큼 높지 않다. 게다가 갤럭시노트8가 배터리 발화로 단종된 갤럭시노트7, 갤럭시노트5 등 구형 노트 사용자의 교체 수요를 모두 흡수한 상황이다. 올 가을 공개될 애플의 신형 아이폰 역시 갤럭시노트9을 위협하는 요소 중 하나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중국 제조사의 공세도 더욱 심해질 것"이라며 "중국, 인도뿐 아니라 국내 시장에서도 중국폰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도 허물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