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가격 10% 이상 폭락…비트코인 가격 6700달러까지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이민우 기자] 국내 중위권 거래소인 코인레일 해킹과 미국 규제 당국의 가격조작 혐의 조사 등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악재가 잇따라 터지면서 가상통화(암호화폐)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이는 미국발(發) 규제 이슈에 더해 국내에서 불거진 거래소 해킹 사태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국내외의 악재가 동시에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는 셈이다. 우선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최근 일부 비트코인 거래소에 거래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구하는 소환장을 발부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비트코인 선물이 상장된 것에 따른 후속 조치의 성격이다.
이 비트코인 선물은 비트스탬프, 코인베이스, 잇비트, 크라켄 등 4곳의 거래소에서 가격 정보를 받는 구조인데, 이들 거래소는 특정 시간과 일부 투자자로 제한한 후의 정보만을 제공한 것이다. 이처럼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 선물가격을 왜곡시킬 수 있어 정부가 규제에 나서게 됐다고 현지 언론들은 분석했다.
국내에서는 거래소의 대규모 해킹 사태가 불거지면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국내 7위 규모 거래소 코인레일 해킹으로 400억원에 달하는 가상통화가 유출된 것. 10일 코인레일은 "이날 새벽 발생한 해킹공격으로 시스템 점검에 들어갔다"며 "수사기관 등과 함게 조사 중"이라고 공지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1시께 코인레일의 가상통화 계좌에서 펀디엑스, 엔퍼, 애스톤, 트론, 스톰 등 9종의 가상통화 36억개 가량이 유출됐다. 해킹당한 가상통화 시세는 대부분 수십원대이지만, 총 피해 규모는 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코인레일은 10일 오전 2시부터 거래를 중단하고 11일 오전 4시까지 시스템을 점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까지 점검이 끝나지 않아 코인레일 거래소 이용은 불가능한 상태다.
코인레일은 "유출이 확인된 코인의 3분의 2는 각 코인사 및 관련 거래소와 협의를 통해 동결·회수에 준하는 조치를 취했으며 나머지 3분의 1에 대해서는 수사기관, 관련 거래소, 코인개발사와 함께 조사 중이다"라는 내용의 공지를 올렸다. 하지만 투자자들이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지난해 12월 가상통화 거래소 유빗에서는 해킹으로 170여억원 규모의 가상통화가 도난당했다. 이 사고로 유빗은 파산을 선언하고 DB손해보험측에 사이버배상책임보험(CLI) 보험금 30억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한 바 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