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네이버 뉴스, 검색·추천·배열 알고리즘 전문가 검증 받는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네이버 '뉴스 알고리즘 검토 위원회' 발족
뉴스 검색·추천·기사 배열 알고리즘 적절성 검토
컴퓨터공학·정보학·커뮤니케이션학 전문가 11인으로 구성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네이버가 뉴스 검색·추천과 기사 배열 알고리즘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들로 구성된 '뉴스 알고리즘 검토 위원회'를 발족했다고 30일 밝혔다.
뉴스 알고리즘 검토 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컴퓨터 공학·정보학·커뮤니케이션 총 3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위원장으로 KAIST 맹성현 전산학 교수가 선발됐다. 네이버는 관련 학계 주요 학회를 중심으로 '검색 알고리즘 검토위 추천 위원회'를 통해 위원회를 꾸렸다.

위원회는 인공지능과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뉴스 검색’을 시작으로, ‘AiRS(에어스)’, ‘AI 헤드라인’ 등 네이버 뉴스홈 기사 배열까지 네이버 뉴스의 핵심 알고리즘 전반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네이버 뉴스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모델링 과정에서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해당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3분기 내에 발간할 계획이다.

위원회에 참여하는 전문가는 ▲고영중 (동아대학교 컴퓨터공학 교수) ▲김용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 교수) 맹성현 (KAIST 전산학 교수) 박혁로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 교수) 송민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 교수) 유경한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교양대학 교수) 이지형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학 교수)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 교수) 조재희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교수 주재걸 (고려대학교 컴퓨터학 교수) 차미영 (KAIST 전산학 교수)? 등 11명이다.
맹성현 뉴스 알고리즘 검토 위원장은 “뉴스 검색과 기사 배열에 이용되는 알고리즘 뿐 아니라 인공지능 ??기계학습 데이터 및 실험 절차 등 다양한 관점에서 사용자에게 적절하고 국제적으로 경쟁력있는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는지를 꼼꼼히 살펴보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유봉석 네이버 미디어서포트 리더는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에게 네이버 뉴스를 구성하는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검토받고, 해당 기술을 통해 서비스 운영 투명성을 더욱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지난해 말 뉴스 서비스 혁신을 위해 CEO 직속 ‘운영혁신프로젝트’ 조직을 신설하고 기사 배열·알고리듬에 대한 외부 전문가의 검증을 받겠다고 밝힌 바 있다. 네이버는 지난 1월 사용자, 시민단체, 학계, 정계, 언론계 등 외부 인사로 구성된 ‘기사 배열 공론화 포럼’을 구성해 기사 배열 방향에 대한 외부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3월에는 '댓글 정책 이용자 패널'을 발족해 뉴스 댓글 운영 원칙과 정책? 등을 논의해왔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