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조선, 자동차 분야 제조업 일자리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이유지만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도소매ㆍ음식료ㆍ숙박ㆍ운수로 대표되는 저임금 자영업 분야의 일자리가 줄어든 것은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보복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도 있지만 최저임금 인상 효과를 배제하기 어렵다. 최저임금을 받는 근로자의 70%가 중산층 가계에 속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최저임금 인상이 소득분배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논의도 아쉽다.
소득분배가 나빠진다는 소식도 이러한 부분과 관계가 있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일할 기회가 사라진 근로자는 임금상승률이 -100%다. 일자리가 유지되는 근로자의 임금을 16.4% 올리기 위해 임금상승률이 -100%가 되는 근로자가 생기는 격이다.
노령화가 지속되고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재정 부담은 그냥 둬도 증대된다. 저절로 역할이 늘어나는 상환이라는 점을 잘 살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정부가 직접 나서기보다는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경기 문제와 고용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 더욱 과감한 규제 완화와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획기적 투자 활성화를 통해 민간 부문의 활력을 불러일으켜야 고용 부진과 경기 침체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 경제 정책에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윤창현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꼭 봐야할 주요뉴스
[속보] 중대본 "제주항공 참사 사망자 179명 신원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