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추세는 어쩌면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2007년 아이폰 발매 이후 애플이 프리미엄 폰시장에 집중한 틈을 타 국내 업체들은 프리미엄 폰과 중ㆍ저가 폰을 모두 공략하는 전략으로 상당한 시장점유율을 확보했다. 그중 삼성은 세계 1위의 스마트폰 생산업체로 등극했다.
따라서 우리 스마트폰이 다시 도약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기술로 폼 팩터(Form Factor)의 변화를 주도하고, 프리미엄 폰에 대한 새로운 니즈를 만들어야 할 시점이라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폴더블 폰(Foldable Phone)이야말로 국산 스마트폰의 재도약을 가져다줄 유력한 대안이라고 본다.
폴더블 폰은 접히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말하는데, 기존 스마트폰이 제공하지 못하는 많은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주머니에 넣고 다니다가 스마트폰을 펼치면 화면을 지금의 2배 혹은 4배로 확대할 수 있다. 태블릿PC, 더 나아가 노트북 기능까지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상용화될 경우 스마트폰 사용 행태는 물론 제조 방식에까지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폴더블 폰이 상품성을 가지기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먼저 디스플레이 내구성을 끌어올려야 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하루 평균 150회 정도 들여다본다고 하면 1년에 5만번 이상을 접었다 펴도 디스플레이가 멀쩡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둘째는 가격이다. 높은 원가와 생산 공정상 어려움으로 출고가가 상당히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고가 스마트폰이 잘 팔리지 않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폴더블 폰의 상품성을 감안하더라도 150만원이 넘으면 판매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더라도 폴더블 폰이 한계에 봉착한 국산 스마트폰의 도약을 위해 유용한 상품이 될 것임은 분명해 보인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디스플레이 생산 기술을 갖춘 우리 스마트폰업체들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 세계시장에서 다시 비상하기를 기대한다.
김연학 서강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꼭 봐야할 주요뉴스
!["마트가면 꼭 삽니다"…한 달 90만원, 커지는 식비 부담에 선택한 것](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111915460516264_1731998765.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