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딧으로 절약한 이자만 '80억원'…"자발적 가계부채 '질적 개선' 뿌듯"
[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렌딧(Lendit)은 기술회사입니다. 태생 자체가 '기술로 금융의 비효율을 혁신하려고' 만든 회사입니다."
지난 3년 성과는 화려하다. 창업 첫 해인 2015년 60억원대에 불과했던 누적 개인신용대출금은 이달초 현재 1200억원을 뛰어넘었다. 이 중 절반 가량은 기존 금융권 대출을 렌딧으로 갈아탄 '대환대출'로 파악된다.
가장 자랑스러운 성과를 꼽아 달라는 요청에 김 대표는 "렌딧을 비롯해 개인신용을 다루는 P2P 기업들이 가계부채를 '자발적으로' 개선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답했다. 그는 "그간 금융 소비자가 렌딧을 통해 절약한 이자 비용만 80억원이 넘는다"며 "별도 정책자금 지원 없이 직접 여신심사 모델을 도입해 이룬 성과란 점에서 가계부채의 '질적 성장'을 이룬 셈"이라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김 대표는 지푸라기를 잡는 심정으로 휴대폰으로 미국의 P2P기업 '렌딩클럽'에 대출을 신청했다. 그랬더니 3000만원을 다 빌리는데 불과 7.8%의 금리로 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는 대출 소비자로 그친 것이 아니라 "왜 우리나라에선 안 될까"는 의문을 가졌다. 이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금융권에 종사하는 지인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묻고 또 물었다. 그 끝에 2015년 3월 렌딧이 탄생했다. P2P시장의 가치를 진작 알아본 알토스벤처스가 시드투자를 집행, 곧이어 5월 서비스를 론칭했다.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한 김 대표의 뿌리는 '디자이너'다. 금융은 그에게도 낯설었을 뿐더러 렌딧은 기존에 없던 사업모델이다 보니 회사의 '정체성'이나 '조직문화'를 정립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내부 설문 등 4~5개월이나 투자해 만든 일종의 직원 생활가이드 이름은 '현실왜곡장'이다. 수칙을 보면 '디테일이 1등을 가른다'는 의미로 '100-1=0'이나, 소통은 많을수록 좋다며 'Overcommunication'을 독려하는 내용 등이 눈에 띈다.
국내 P2P 시장의 가능성을 확인한 렌딧은 이제 기술 고도화를 통해 본격적인 시장 확대를 노린다. 김 대표는 "자체개발한 신분증 위변조 방지부터 향후 음성인식 기술을 통한 위변조 판단 솔루션까지 도입해 모든 알고리즘을 자동화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며 "기존 금융에서 비효율로 존재하던 부분을 기술 개발로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400만원이 47억 됐다"…젠슨 황 믿고 11년 버틴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