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제임스 스타인버그 전(前)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24일 남북과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이 정말로 풍계리 핵실험장 가동을 중단했는지에 대해서 실질적인 검증 과정을 받아들이겠다는 합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스타인버그 전 부장관은 "과거 북한 핵프로그램에 대해서 검증을 시도한 경험이 있지만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국제원자력기구(IAEA) 조사단을 받아들이고 북한 내 핵실험장을 검사해 핵개발이 중단됐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이 실제로 핵무기 개발을 중단한다고 해도 북핵 문제가 모두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핵 개발 역량 자체가 있기 때문이고 또 장거리미사일 등 무기 개발 시도에 대해서도 검증할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미국이 제한적 선제타격을 얘기하지만 북한의 정권을 몰락시키지 못하는 한 북한의 반격으로 한국과 일본이 영향을 받게 된다"며 "그동안 국제사회가 대북제재를 강화했지만 추가적인 제재도 남아 있으며 여러 억지 방안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동북아시아 지역 내 국가들 간의 의사조율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미국이 북한과 회담에 임하면서 지역 주변국과 관계를 고려해서 개방적이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 하고 공동의 이해를 생각하면서 협상을 진행해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남북정상회담을 앞둔 문재인 정부에 대해서도 "남북회담에서 광범위한 이슈를 다루려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중에는 한미동맹 관계를 위협할 수 있는 내용이 나올 수도 있다고 본다"면서도 "문 정부는 장기적으로 미국과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가져가려는 입장으로, 한미동맹에 문제가 될 만한 결과를 도출할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아이 낳은 직원에 '28억' 준 회장님 "돈만 준다고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