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이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왔다. 정부는 막바지 준비에 한창이다. 이번주 고위급회담을 거치면 준비는 거의 마무리된다. 주변국들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특히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내정자가 최근 극비리에 방북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난 것은 남북정상회담과 패키지격인 북미정상회담 준비도 상당히 진전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분단 이후 남과 북의 최고지도자가 만나는 것은 이번이 세번째이지만 장소가 갖는 상징성과 의제가 주는 시급성, 회담의 성격 등을 고려할 때 이번 회담은 그 의미가 남다르다.
북한이 이렇게 전향적으로 나오는 이유가 전세계적인 대북제재에 따른 절박성 때문이든, 시대에 부응하려는 내부적 변화의 움직임 때문이든 간에 겉으론 드러나는 현상 자체만으로도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이 다시 올 수 없는 대화의 기회라고 꼽고 있다.
회담의 의제는 분명하다. 남과 북은 이번 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 방안을 심도있게 다룰 전망이다. 일촉즉발로 치닫던 위기 상황이 극적인 해빙 무드로 바뀐 것은 불과 4개월 전이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도발을 멈추지 않았던 북한이다. 새해 들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신년사를 시작으로 조성된 화해 무드는 평창동계올림픽을 거치면서 해빙 국면으로 이어졌다. 다음주 남북정상회담, 그리고 한달여 후로 예정된 북미정상회담은 향후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방향타가 될 전망이다.
회담의 성격만 놓고 보더라도 의미가 크다. 남북정상회담은 외견상 한반도 문제의 이해당사자간의 양자회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다자회담의 성격이 짙다. 한달여 남은 북미정상회담의 징검다리 회담이라는 의미도 갖는다. 이해관계가 얽힌 주변국들과의 조율이 필요한 이유다. 남북정상회담이 확정된 이후 김 국무위원장이 베이징을 찾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을 하고,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은 것은 모두 한반도 문제에서 주도권을 놓지 않으려는 전략 때문이다.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되기까지의 과정이 드라마처럼 극적이었던 것처럼 실질적인 결실을 맺는 것이 중요하다. 당사국과 주변국의 이해에 상충되지 않는 비핵화 프로세스, 종전선언을 포함한 평화 정착 방안 등이 가시화되어야 한다. 그래야 회담의 장소적 상징성은 역사로 남고, 의제의 시급성은 극적인 성과로 이어질 것이다. 회담의 성공 여부는 사전 준비에 달렸다. 남은 기간 철저한 준비로 회담이 만남 자체가 아니라 실질적 성과를 내는 회담이 되기를 기대한다.
김동선 디지털뉴스부장 matthew@asiae.co.kr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하루아침에 길바닥 나앉은 2000명…日서 난리난 회...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