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美·中 코인거래소 잇달아 한국 진출… "안방 뺏길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美 폴로닉스, 한국·중국·일본 등 아시아권 진출 예고…中 거래소도 이달 중 한국 공략 개시
해외 거래소 진출에 檢압수수색까지 국내 거래소 '엎친 데 덥친 격'
美·中 코인거래소 잇달아 한국 진출… "안방 뺏길라"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이민우 기자] 미국의 대형 가상통화 거래소 폴로닉스가 국내에 진출한다. 앞서 중국 1, 2위 거래소 오케이코인과 후오비가 국내 진출을 선언하는 등 해외 대형 거래소들이 속속 들어오고 있다. 토종 거래소들이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상황이어서 해외 기업에 안방을 내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핀테크 기업인 서클은 최근 인수한 가상통화 거래소 폴로닉스의 사업 확장을 위해 아시아권에서 최대 100명을 고용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서클의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제레미 알레어는 홍콩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한국, 일본, 중국 및 홍콩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직원을 채용할 것"이라고 했다.

세계 최대 규모 거래소 중 하나인 폴로닉스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는 얘기다. 거래소가 폐쇄된 중국의 경우 여전히 개인 간(P2P) 거래 등으로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중국인들을 공략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폴로닉스의 사업 확대는 지난달 서클이 전격 인수하면서 예견된 것이었다. 골드만삭스, 바이두 등의 투자를 받은 서클은 5년 전 설립된 스타트업이지만 4억 달러에 폴로닉스를 인수하는 대형 인수합병(M&A)을 추진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킨 바 있다. 당시 제레미 알레어는 "폴로닉스를 모든 종류의 가상통화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만들겠다"고 했다.

앞서 중국 거래소인 후오비와 오케이코인 등도 일찌감치 한국 진출을 예고했다. 이들 중국 거래소는 이달 중 한국 진출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오케이코인이 지난 1월 국내서 실시한 사전예약 이벤트에는 30만명이 몰려들었다. 국내 가상통화 투자자들이 300만명으로 추정되는 것을 감안하면 전체 투자자들의 10%가 관심을 보인 셈이다. 후오비는 최근 서울 선릉역 인근에 '후오비 고객센터'를 마련하며 적극적인 한국 시장 공략을 예고했다. 국내 거래소 중에도 오프라인 고객센터를 갖춘 곳은 빗썸과 코인원이 유일하다.
이처럼 해외 거래소들이 잇따라 국내 시장의 문을 두드리는 이유는 각종 규제 가능성에도 투자 규모나 성격 등을 볼 때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국회예산처의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2개월간 우리나라 비트코인 가격은 세계 가격보다 높게 유지됐으며 일부 가상통화의 경우 한국에서 거래량이 전체 거래량의 40% 이상을 차지는 등 투자 열기가 뜨거웠다.

하지만 해외 대형 거래소들의 진출 선언으로 국내 중소 거래소들의 위기감을 커지고 있다. 은행들이 실명 가상계좌 발급을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 4곳에 제한하고 있어 법인계좌 활용 등의 미봉책으로 버티고 있는 상황에서 또 다른 대형 경쟁자들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최근 검찰이 중소 거래소들을 압수수색한 것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서울남부지검은 서울 여의도 소재 거래소 1곳과 강남 소재 거래소 2곳 등 총 3곳에 대해 고객 돈을 빼돌린 혐의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 기업들이 안방을 침투하고 있지만 국내 중소 거래소들은 경쟁력을 구비하지 못해 자칫 안방을 내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정부는 가상통화 거래소에 관한 제도를 서둘러 정비해 국내 거래소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