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4차산업혁명 '일자리 파고' 한국 덮치는데…정보통신·과학 전문가는 부족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4차산업혁명 '일자리 파고' 한국 덮치는데…정보통신·과학 전문가는 부족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한국에서 새로 생겨날 일자리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리 비중은 OECD 평균보다 높아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8일 유한나 파이터치연구원 연구원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핵심인력 현황 및 개선방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유 연구원은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반복적 인지노동 비중은 전체 근로자의 21.6%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OECD 평균 42.2%에 비하면 절반에 그치는 수치다.

반면 4차 산업혁명시대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반복적 육체노동(22.5%), 반복적 인지노동(30.8%)과 반복적 육체노동(25.1%) 비중은 OECD 평균 17.6%, 23.7%, 16.5%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는 이어 "지난 2011년에서 2016년까지 OECD 국가들의 4차 산업혁명 핵심인력이 평균 5.8% 증가했지만 우리나라는 0.5%로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며 "이것은 OECD 국가들은 그동안 4차 산업혁명 핵심인력 양성을 꾸준히 준비했으나, 우리나라는 핵심인력 양성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고 경고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력인 정보통신, 과학 분야의 전문가가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정보통신 분야의 경우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전문가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다. 하드웨어의 전문가 부족률은 1.6%이지만,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의 전문가 부족률은 3.6%(소프트웨어 개발 3.6%, 웹 전문가 3.5%)로 두 배 이상 높다.

유 연구원은 젊은 인재들이 과중한 업무량, 잦은 야근,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 등을 이유로 소프트웨어 산업을 기피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과학·공학 전공 박사들이 해외로 유출되고, 정부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예산의 90% 이상이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 일자리 창출에 편중돼 문화·예술 분야 관리자 관련 일자리 창출이 제한되는 것도 문제다.

유 연구원은 "한국이 4차 산업혁명 핵심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 분야 관리자 육성을 위해 관련 전문기관들의 교육프로그램을 정비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공헌노력이 문화·예술 분야 관리자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과감한 인센티브 제공이 요망된다"고 말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