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한국에서 새로 생겨날 일자리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리 비중은 OECD 평균보다 높아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반면 4차 산업혁명시대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반복적 육체노동(22.5%), 반복적 인지노동(30.8%)과 반복적 육체노동(25.1%) 비중은 OECD 평균 17.6%, 23.7%, 16.5%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는 이어 "지난 2011년에서 2016년까지 OECD 국가들의 4차 산업혁명 핵심인력이 평균 5.8% 증가했지만 우리나라는 0.5%로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며 "이것은 OECD 국가들은 그동안 4차 산업혁명 핵심인력 양성을 꾸준히 준비했으나, 우리나라는 핵심인력 양성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고 경고했다.
유 연구원은 젊은 인재들이 과중한 업무량, 잦은 야근,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 등을 이유로 소프트웨어 산업을 기피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과학·공학 전공 박사들이 해외로 유출되고, 정부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예산의 90% 이상이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 일자리 창출에 편중돼 문화·예술 분야 관리자 관련 일자리 창출이 제한되는 것도 문제다.
유 연구원은 "한국이 4차 산업혁명 핵심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 분야 관리자 육성을 위해 관련 전문기관들의 교육프로그램을 정비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공헌노력이 문화·예술 분야 관리자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과감한 인센티브 제공이 요망된다"고 말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15조원어치 거대 금광 발견했다…주가 오르고 난...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