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시 관련 기관 동시에 전달·공유
그만큼 자전거 도둑도 많다. 네덜란드는 이 문제에 블록체인을 적용했다. 네덜란드 자동차 등록청 'RDW'는 IBM과 블록체인을 활용한 자전거 도난 사고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2016년 6월 실증까지 마친 상태다. 장부가 실시간 공유되는 블록체인의 특성을 활용하려는 것이다.
일단 도난 신고가 발생하면 관련 기관에 이 소식이 동시에 전달된다. 기존에는 피해자가 경찰ㆍ자전거 거래상점 등에 일일이 신고를 해야했다. 블록체인을 도입함으로써 신고만 하면 모든 기관이 동시에 사실을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스웨덴은 토지대장 등록시스템에 블록체인을 도입해 효율성을 높였다. 스웨덴 토지대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었다. 토지 등록에만 최소 3개월이 소요됐다. 기관별로 토지 문서를 검토하고 확인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에 스웨덴 정부는 블록체인을 적용해 관련 기관이 동시에 토지 대장 등록 관련 업무를 처리하게 할 계획이다.
미국 음반 산업이 독점구조이다보니, 유통업자가 음반의 가격을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는데 힙은 이게 불만이었다. 그는 블록체인을 도입해 음반을 직거래하는 쪽을 택했다. 음반 유통업자를 거치지 않음으로써 중개비용이 줄었고 음반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이 됐다.
이처럼 블록체인은 거의 모든 산업에서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는 "효율성 향상은 품질 향상뿐 아니라 원가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면서 블록체인이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