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국가채무는 2008년 25조달러(한화 2경7100조원)에서 올해 45조달러(4경8780조원)로 급증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를 기준으로 평균 73%에 달한다.
더욱 우려되는 문제는 금리인상 여파다. 지난 10년간 OECD 회원국의 채무가 급증한 까닭은 각국이 단행한 양적완화 정책의 영향이 크다. 이들 국가는 확장적 재정정책을 펼치며 초저금리로 국채를 발행해 부족한 돈을 메웠다. 당시 발행한 국채 가운데 상당 부분이 올해부터 만기가 도래한다.
여기에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가가 긴축으로 돌아서고 미국의 국채 수익률이 상징적 저항선으로 평가되는 3%에 도달하면서 각국이 받을 충격도 우려되고 있다. OECD에 따르면 향후 3년간 만기가 도래하는 국채는 전체의 40%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월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느슨한 통화정책을 운용해 온 주요국이 큰 도전에 직면했다"고 우려했다. JP모건은 "상당수의 정부가 4년만에 처음으로 올해 민간시장에서의 자금조달 규모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유력 싱크탱크 브루킹스 연구소의 더글러스 레디커 선임연구원은 "지난 10년간 차환발행은 이전과 같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이뤄졌으나, 앞으로는 짐이 될 것"이라며 "실물경기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가 관건"이라고 경고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