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이 이번 회담에서 북핵문제 처리, 대북정책의 기본원칙과 방향성에 대해 합의함으로써 사드배치와 북핵문제 해결을 둘러싸고 제기됐던 한미동맹 균열의 우려를 말끔히 씻어냈다는 점은 다행스럽다. 그러나 양국 정상이 후속조치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엇박자가 나올 가능성은 다분해 보인다. 정당한 절차(?)에 발목이 잡힌 사드배치, 주한미군 주둔 방위비 분담문제, 제재와 대화를 병행한 북핵문제의 단계적 해결, 한반도평화통일 환경조성에 대한 양국의 입장과 역할 차이 등에서 이견이 노정될 가능성이 높다.
화려한 외교적 수사(修辭)와 실제행동 간에 존재하는 시각차를 어떻게 좁힐 것인가가 향후 과제이다. 그러나 한미 간 시각차를 좁히는 것도 쉽지 않은 문제다. 그래서 원칙과 전략이 필요하다. 우선 현재 환경평가문제 때문에 배치가 지연된 4기의 사드를 조속히 배치 완료해 굳건한 한미동맹이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한미동맹을 강화하는 것이 한국의 자강력(自强力)을 높여 '북한이 핵을 앞세운 한국 흡수통일전략'을 저지하는 방책이라는 점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협조도 구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대화와 협상'이 전가의 보도가 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국제사회는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20년 이상 제네바합의, 6자회담, 9ㆍ19공동선언 등을 도출해냈지만 '대화와 협상'의 산물들은 모두 무용지물이 됐다. 반면 북한의 핵능력은 진화를 거듭해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
조영기 고려대 통일외교안보전공 교수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