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중국산 기름 들어와도 한국 정유사 웃는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中 환경규제 강화 덕에 고품질 국산 경유 대중국 수출 급증
호재는 일시적…중국 정유사 탈황설비 마치면 우리나라로 역공 시작


중국산 기름 들어와도 한국 정유사 웃는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내년부터 국내 시장에 수입되는 중국산 석유 제품에 맞서야 할 국내 정유사들이 쾌재를 부르고 있다. 중국산 석유제품 수입이라는 악재의 이면에국산 석유제품 수출 확대라는 호재가 더 크게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감에서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중국산 제품 수입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15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올해 국내 정유사들의 대중(對中) 경유 수출 물량이 급등했다. 1월~10월까지 중국으로 건너간 국내산 경유는 804만4000배럴이다. 2015년 한 해 동안 수출했던 277만2000배럴에 비해 약 3배 늘어났다. 올해 11,12월 수출 물량까지 합치면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다.

◆대중국 경유 수출 3배 늘어…中정유사들 고품질 생산지연 탓 = 중국으로 경유 수출이 갑자기 늘어난 데는 이유가 있다. 중국은 골칫거리인 대기오염을 막기 위해 올해 1월1일부터 11개 대도시(베이징ㆍ텐진ㆍ허베이ㆍ랴오닝ㆍ 상하이ㆍ장수ㆍ저장ㆍ푸젠ㆍ산동ㆍ광동ㆍ하이난)에 환경 규제를 강화했다. 이곳에서 유통되는 휘발유와 경유의 최대 황 함유량 기준을 기존 50ppm에서 10ppm(1ppm은 1백만분의 1)으로 낮췄다. 황 함유량이 적을 수록 품질이 좋은 연료다.

그러나 중국의 대부분 공장들은 이 기준에 맞는 제품 생산 능력을 아직까지 갖추지 못했다. 지금도 고품질 제품을 만들기 위해 탈황(脫黃)시설을 추가로 짓는 중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유사들은 올해 생산된 저품질 경유를 인도네시아나 필리핀과 같은 환경규제가 약한 지역에 팔고, 대도시에서 사용했던 고품질 경유는 우리나라로부터 수입해 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울산광역시 남구 고사동에 위치한 SK이노베이션 울산 콤플렉스 전경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울산광역시 남구 고사동에 위치한 SK이노베이션 울산 콤플렉스 전경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원본보기 아이콘
 
중국 정부는 내년부터 중국 전역에서 유통되는 휘발유와 경유 황 함유량 기준을 우리나라와 같은 10ppm으로 강화한다. 정유업계가 내년부터 국내로 중국산 기름이 수입될 수 있다며 우려한 이유도 여기에 있었다. 중국 정유시설이 고품질 기름을 생산하기 시작하면 운송료가 적게 드는 우리나라로 싼 가격에 밀어내기 해 타격을 입을 것이라 예상했다. 특히 경유는 중국내에서도 수요가 적어 재고가 쌓이고 있다.
◆韓 정유사들 호재는 일시적인 현상…중국 역공에 대비해야 = 중국 정유사들이 탈황설비를 제대로 갖출 때까진 중국의 석유제품 품질규제는 우리나라에겐 호재다. 중국 전역에서 고품질 기름을 사용해야하는 내년에는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량이 더 늘어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정유사들이 탈황설비 설치를 속속 마치기 시작하면 언제든지 우리나라를 수출 대상국으로 삼아 역공할 가능성은 열려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대중 휘발유 수출은 경유와 달리 오히려 줄었다. 올해 1~10월까지 중국으로 수출한 휘발유량은 94만7000배럴이다. 지난해에는 130만7000배럴이 중국으로 수출됐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중국 길거리에 다니는 수많은 자동차들만 봐도 트럭을 제외하곤 휘발유를 연료로 하는 기종이 대다수"라며 "휘발유는 원래 황 함류량이 경유보다 적은데다, 중국 정유사들이 자체 수요가 많은 휘발유만 탈황 기준에 맞게 생산ㆍ유통해 다른 나라로부터 수입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