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이 승객이 적어 수익성이 낮은 경전선·동해남부선·영동선·태백선·대구선·경북선·정선선 등 7개 벽지(僻地)노선의 운행 열차를 절반 수준으로 줄이기로 했다. 내년도 정부 예산에서 코레일의 벽지노선 손실보상금이 650억원 줄었기 때문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열차 감축과 역 무인화 등의 효율화를 시행하고도 공사는 174억을 추가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코레일은 공사는 화물운송 최적화를 위한 물류시스템 개선과 차량검수, 선로 유지보수, 열차승무 및 수송업무에 대한 외주화를 확대하는 등 전 분야에 대한 강도 높은 효율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주 국회 본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된 2017년도 예산안을 보면 코레일의 공익서비스(PSO) 보상예산은 2962억원으로 전년(3509억원) 대비 15.6%(547억원) 줄었다. 특히 벽지노선 손실보상 예산 감소 폭이 컸다. 올해 2111억원에서 내년 1461억원으로 650억원이 삭감됐다.
결국 이 보상액이 줄면 코레일 입장에선 취약계층에 대한 혜택을 줄이고 해당 노선을 줄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코레일의 설명이다. 현재 보상 대상 벽지노선은 경전선ㆍ동해남부선ㆍ영동선ㆍ태백선ㆍ대구선ㆍ경북선ㆍ정선선 등 7개 노선이다.
코레일은 지난달 11일 적자를 이유로 폐지했던 고속철도(KTX) 마일리지 제도를 3년 만에 부활시키고 할인제도도 확대했다. 오는 9일 개통 예정인 수서발고속철도(SRT)와의 경쟁에 대비한 조치다. SRT의 수서~부산 구간의 요금은 5만1800원으로 KTX 서울~부산 요금(5만9800원)에 비해 약 11% 싸다. 하지만 보상예산 삭감은 코레일 KTX 요금 인하를 어렵게 할 가능성이 크다. 코레일은 벽지노선 등 일반철도에서 발생하는 적자를 KTX의 이익으로 메우는 '교차 보조'를 하고 있다. 하지만 오는 9일 개통 예정인 SRT와의 경쟁에 따른 적자 발생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트럼프에 찰싹 붙은 그녀…국민 82% "전폭적 지지"[World Photo]](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0610262497085_1762392384.png)













![[단독]정부, 국유재산 매입 4배로 늘린다… 기조 전환 나서](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114201213090_1762838413.png)

![[산업의 맥]혁신형 제약기업](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108572774820A.jpg)
![[초동시각]영혼을 갈아넣은 협상, 장기전 준비해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111021706959A.jpg)
![[기자수첩]여야, '국감 혁신' 머리 맞대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110100263418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