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에어컨, 장식품 맞다"…전기세 폭탄 현실화에 불만 폭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이번 달 전기 사용량 급증한 사람들 "아껴 틀었는데 10만원 훌쩍" 호소...누진제 완화 목소리 높지만 적극적인 제도 개선 움직임 없어

제공=게티이미지뱅크

제공=게티이미지뱅크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한 달이 넘게 지속되고 있는 폭염으로 에어컨 사용량을 늘린 사람들에게 전기요금 폭탄이 현실화되고 있다. 인터넷 카페 등에선 "더위에 어쩔 수 없어 조금씩 아껴 틀었는데도 30만원대 전기 요금이 나오게 생겼다"는 하소연이 넘쳐나고 있다.

최근 아파트 전기 계량기 함을 들여다 본 인천시 부평구 주민 A(40)씨는 "에어컨은 소비자를 위한 전자제품이 아니라 장식품이 맞는 것 같다"고 한탄했다. 30평대 아파트에 아이 둘과 부부가 함께 사는 A씨는 그동안 한달 250kwh 안팎의 전기를 사용해 4만원 정도의 전기 요금을 내왔다. 하지만 지난달 말 이후 무더위 때문에 평일 하루 4~5시간, 주말 하루 7~8시간 정도 에어컨을 틀었더니 24일 현재 A씨 집의 이달 전기 사용량은 이미 500kwh를 초과했다. 다음달 요금 고지서에 최소한 13만원 이상이 찍혀 나온다는 얘기다.
기겁을 한 A씨는 이틀 전부터 에어컨 가동을 중단하고 선풍기 2대만 틀면서 버티고 있다.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마다 등줄기에서 땀이 베어나와도 참는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대로 계속 에어컨을 틀어대면 이달 전기 사용량이 800kwh를 넘어 30만원이 훨씬 넘는 전기요금을 내야 하기 때문이다. A씨는 "고가를 주고 구입했지만 덥지 않을 때는 거의 쓰지 않아 장식품처럼 여겼었는데, 막상 더위가 닥쳐도 전기요금 걱정 때문에 쓰지 못하니 장식품이 확실하다"며 "열대야 때문에 매일 밤 잠을 설쳐도 월급쟁이 처지에 한달에 30만원이 넘는 전기 요금을 낼 수는 없지 않냐"고 말했다.

서울 한 아파트에 사는 B씨도 비슷한 상황이다. B씨 집의 6월 전기 사용량은 380kwh에 그쳤지만, 7월 들어 에어컨 가동량을 늘렸더니 이번달 고지된 지난달 전기요금이 무려 31만190원이나 됐다. 전기 사용량은 718kwh로 전월보다 339kwh가 늘어 두 배가 됐는데, 누진제가 적용되는 바람에 요금은 다섯배 가까이 뛴 것이다.

B씨는 "에어컨이 오래돼서 그런지 별로 안 시원해 온도를 18도 정도로 낮춰 틀었더니 전기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된 것 같다"며 "말로만 듣던 전기세 폭탄을 내가 받게 될 줄 몰랐다"고 말했다.
수도권 아파트 거주 C씨는 갓난아이와 부부 등 3명만 살아 한 달 전기 요금이 2만원 미만에 그쳤지만, 이번 폭염으로 에어컨을 많이 쓰는 바람에 다음달 30만원대의 전기요금 부과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C씨는 "아이가 어려서 에어컨을 하루 종일 틀어 놔야 해서 어쩔 수가 없다"며 "전기요금을 아끼려고 대낮에는 아기를 데리고 나와서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등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호소했다.

한편 정부는 전기요금 누진제 논란이 일자 최근 올해 7~9월에 한 해 6단계 구간 폭을 50kwh씩 조정해 완화해주기로 했다. 그러나 5단계 구간 이상 가구의 경우 2~3만원의 감면 혜택에 불과해 불만이 높다. 야당ㆍ시민단체 등에서 누진제 추가 완화 또는 폐지 목소리가 나오지만 관련 법 개정 등 적극적인 제도 개선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는 상태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가정용에 대해 과도한 요금을 부과하는 누진제 적용에 대해선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가정용 태양열 발전기 보급 활성화 등 신재생ㆍ대체에너지 보급과 화력ㆍ원자력발전 위주의 기존 에너지 생산 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