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스마트폰 인터넷 많이 보는 중·고생이 뚱보 될 위험 크다… O? X?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인터넷 중독예방교육

인터넷 중독예방교육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민재 인턴기자] 요즘은 애나 어른이나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보는 것이 일상화 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2015년 스마트폰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를 해보니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루 평균 4.6시간을 스마트폰 보는 데 쓰고 있었다. 괜히 노모포비아(휴대전화가 없으면 불안해하는 증상)이란 단어가 등장한 것이 아니다. 특히나 청소년의 모바일 사용은 과의존으로 변할 위험이 컸는데, 잠재적 위험군이 27.65%로 청소년 10명 중 3명이 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있었다.

문제는 인터넷 사용이 가져오는 건강에 대한 위협이다. 인터넷 이용 시간이 일주일에 10시간 이상인 중·고교생은 3시간 미만인 학생에 비해 비만이 될 위험이 1.4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중·고등학생의 주당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431분(7시간11분)이었다.
27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가톨릭의대 정혜선 교수(예방의학)팀이 질병관리본부가 2014년에 실시한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중·고생 6만9659명 대상) 자료를 토대로 남녀·학력·학년 등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

중·고생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비만 위험이 높아졌는데 특히 입시 부담·스트레스가 큰 고3의 비만 가능성은 중1의 2.4배에 달했다.

이번 연구에서 국내 중·고생의 평균 BMI(체질량지수)는 20.7로 정상 체중이었다.
비만을 측정하는 BMI는 자신의 체중(㎏)에 키(m단위로 환산)의 제곱을 나눈 값으로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한다.

정 교수팀은 인터넷 이용시간뿐만 아니라 "남녀·학년·부모 학력·학업성적·수면만족·패스트푸드 섭취·인스턴트식품 섭취·격렬한 운동·근력운동·스트레스 등이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김민재 인턴기자 mjlovel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