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부동산 금리인하 훈풍]매물 거두는 강남…문의전화 크게 늘어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주택 시장 양극화·전셋값 추가 상승 우려도
[부동산 금리인하 훈풍]매물 거두는 강남…문의전화 크게 늘어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금리 인하 소식이 전해지자 아파트 매입을 망설이던 사람들의 문의가 늘었습니다. 강남은 집값이 비싼 편이라 작은 금리 차이에도 민감한 게 사실입니다. 반대로 집주인들은 가격이 더 오르길 기대하며 매물을 거둬들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10일 서울 강남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기준금리가 역대 최저치로 낮아지자 주택 시장에 이 같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강남은 이번 금리 인하 효과가 제일 큰 지역으로 꼽힌다. 저금리의 장기화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여윳돈이 강남 일대 재건축 사업으로 몰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부동산전문위원은 "강남 재건축 사업이 상상할 수 없는 고분양가로 분양을 하는 건 이미 부동산 시장에 유동자금이 많이 유입됐기 때문"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기준금리가 더 인하돼 자금이 몰려 강남 재건축의 상승세는 더욱 가팔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일 분양가를 높이고 있는 서울 개포지구는 투자자들과 집주인들의 눈치싸움이 시작됐다. 개포동 O중개업소 관계자는 "개포동 일대 신규 분양이 잇달아 성공하면서 전용면적 42㎡가 9억원까지 올라 최근엔 거래가 뜸한 상황"이라면서도 "저금리로 투자자들의 자금여력이 늘어나면 추가 상승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남 재건축은 고분양가 논란에도 집값이 더 오르고 있는 상태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강남과 서초, 강동구 일대의 아파트 가격 상승폭은 더욱 커졌다. 강남(0.18→0.23%)과 강동(0.08→0.13%)의 경우 한 주 만에 0.05%포인트 뛰어 올랐으며 서초구도 0.13%에서 0.16%로 0.03%포인트 상승했다.
크게 오른 전셋값을 감당하지 못한 실수요자들도 움직일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 서초구 D중개업소 관계자는 "부동산은 심리가 중요한 데 매월 내는 대출 이자가 조금이라도 줄어든다는 점은 실수요자들을 유인하는 효과를 낼 것"이라며 "오늘 걸려온 문의전화 대부분이 연초부터 매매를 고민하고 있던 분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신규 분양 시장에만 사람들이 몰려 재고주택 시장과 양극화가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또 금리가 더 낮아지면서 월세 전환이 늘어 전셋값 상승세가 가팔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저금리로 인한 월세 전환으로 안정세로 접어든 전셋값 상승폭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 PICK

  • "두 아들 걸고 결백" 카라큘라, 구속…'쯔양 공갈 방조 혐의' [포토] 티메프 사태 소비자결제 취소 본격화 [포토] '티메프發' 영향 인터파크도서 서비스 중지

    #국내이슈

  • "난 흑인 일자리 사랑해"…美 체조여제 바일스, 트럼프 저격한 이유 '마두로 3선 사기' 베네수엘라 반정부 시위 격화…"시위대 11명 사망" 경매만 나오면 억대급…'스타워즈' 레아공주 '황금색 비키니' 2억에 팔려

    #해외이슈

  • [포토] 물놀이 전 준비운동은 필수 [포토] 시원하게 가동 되는 쿨링포그 조폐공사, ‘복온공주 활옷’ 기념메달 출시

    #포토PICK

  • 아이오닉5N, 전기차 최초 日 후지스피드웨이 공식 차량 선정 BMW의 쿠페형 SUV X2, 고성능 버전도 국내 출시 달라진 눈매…기아 '더 뉴 K8' 외관 일부 공개

    #CAR라이프

  • 죽은 물고기 배 갈라보니…"바다 전체가 플라스틱 범벅"[뉴스속 용어] [뉴스속 용어]파리올림픽 ‘드래그퀸’ 때린 트럼프… "LA올림픽엔 없어" [뉴스속 용어]프랑스 자유와 혁명의 상징 ‘프리기아 캡’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