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문연구단 5개 선정해 집중 연구 돌입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과학자들의 꿈은 무엇일까요? 특히 우리나라에서 과학자들은 어떤 소망을 가지고 있을까요? 한마디로 말하기는 어려운데 무엇보다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에 있지 않을까요. 그동안 수없이 많은 과학자들을 만나봤는데 가장 힘든 것 중의 하나가 '연구외 업무'가 많다는 데 있다고 하더군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장규태, 이하 생명硏)이 새로운 도전에 나서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노화, 희귀·난치질환 등 국가·사회적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5개의 '전문연구단'을 올해 초 선정했습니다. 생명硏은 해당 연구단을 글로벌 선도연구그룹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입니다.
생명硏은 이 같은 한계점을 인식하고 하나의 목표를 향해 안정적 연구 환경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서로 협력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전문연구단 체제를 도입한 것이죠. 전문연구단에는 집중적 연구개발 수행을 위해 생명硏 연간 주요사업 연구비의 20%를 지원(2018년까지 총 200억원 투입)합니다. 수탁사업에 대한 참여를 제한해 연구 몰입도를 높이기로 했습니다. 안정적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해 주요사업을 통해 인건비의 80%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한 마디로 다른 데 신경쓰지 말고 자신이 계획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든 것입니다. 생명硏은 전문연구단 설치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사전기획, 자체 수요조사와 내·외부 전문가 평가를 실시했습니다.
생명硏은 앞으로 이 조직들을 국가·사회적 현안을 해결하고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세계적 핵심연구기관(Center of Excellence, CoE)'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입니다. 장규태 원장은 "전문연구단 중심으로 연구의 수월성을 확보하고 고유임무 브랜드를 만들어 나가겠다"며 "이번 전문연구단 체제를 시작으로 국민이 필요로 하는 사회적 현안 해결에 앞장서고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